코로나 위험도 전국 5주째·수도권 6주째 '매우높음'
코로나 위험도 전국 5주째·수도권 6주째 '매우높음'
  • 뉴시스 기자
  • 승인 2021.12.27 16: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수도권은 '매우높음'→'높음' 격하
방역 강화 조치에 지표 전반 개선세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7주만 감소세

감염재생산지수 일상회복 후 첫 1미만

위중증 환자 1054명…내주까지는 늘 듯



방역 당국이 지난주 코로나19 상황을 전국·수도권 모두 '매우 높음'으로 평가했다. 전국은 5주째, 수도권은 6주째 매우 높음이 유지되고 있다.



재원 중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는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다만 지난 18일부터 강화된 방역 조치 영향으로 비수도권의 유행 상황이 '매우높음'에서 '높음'으로 하향 조정되는 등 전반적인 지표는 전주 대비 개선되는 추세다.



27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지난 12월19일부터 지난 25일까지 12월4주 주간 위험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 전국 위험도는 '매우 높음'으로 나타났다. 전국과 수도권 위험도는 지난 11월4주부터 5주 연속 '매우 높음'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비수도권의 경우 12월2주부터 2주 연속 '매우 높음'을 유지하다 12월 넷째 주에는 '높음'으로 그 단계가 하향됐다.



전국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은 79.3%로 7주간 증가세를 보이다가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했다. 전반적인 발생 감소와 병상 확충 노력에 힘입어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전주 대비 1.0%포인트, 3.8%포인트 감소한 85.5%, 68.8%를 기록했다.



병상 확충에 따라 의료진의 감당 가능 확진자 수도 늘어 의료 대응 역량 대비 발생 비율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각각 110.6%, 67.1%를 기록하며 감소했다. 전주 대비 각각 31.3%포인트, 25.4%포인트 줄었다.



하루 재원 위중증 환자 수는 1054명으로 집계됐는데 전주까지 지난 25일 1105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한 점을 감안하면 내주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간 하루 평균 확진자는 6101명으로 전주 대비 764명 줄었는데 8주 연속 증가해오다 소폭 감소한 수치다. 입원 환자 수는 4648명으로 이 역시 전주 대비 796명 감소했다.



수도권의 경우 최근 한 주간 하루평균 4423명의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전주 대비 13.4% 줄었다. 같은 기간 비수도권에선 하루 평균 1678명의 확진자가 발생해 전주 대비 4.5% 감소했다.



주간 감염재생산지수는 전국 0.98로 단계적 일상 회복 시행 후 8주 만에 처음으로 1미만으로 감소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각각 0.96, 1.02를 기록했다.



해외 유입 사례는 하루 평균 68.6%로 전주 대비 115.1% 급증했다.



다만 사망자는 532명으로 전주 대비 98명 늘며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최근 5주간 사망자는 11월4주부터 248명→317명→401명→434명→542명을 기록하고 있다.



연령별 하루 평균 발생률(인구 10만명당)을 보면 0~9세 연령(19.5명)과 60~69세(15.3명) 연령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였으나 이를 제외한 전체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특히 60대 이상 고령층 확진자는 그간 지속해서 증가해왔지만 3차 접종 진행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이다. 60대 이상의 하루 평균 발생률은 12.5명으로 전주(16.8명) 대비 25.6% 감소했으며, 전체 확진자 중 비중도 전주(30.5%) 대비 25.5%로 5.0%포인트 줄었다.



18세 이하 청소년군에선 하루 평균 1400명이 확진되며 전체 확진자 대비 발생 비중은 계속해서 늘고 있다. 어린이집·유치원 등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늘면서 11세 이하 아동 확진이 늘고 있고, 2차 접종 후 3개월이 지난 18세군의 돌파 감염이 증가하는 데 따른 영향이다.



그간 지속해서 증가했던 검사 양성률도 2.56%로 12월3주 2.70% 대비 0.14%포인트 감소했다.



예방 접종지표는 60세 이상의 3차 접종률이 69.7%로 전주 대비 크게 늘었다.



방대본에 따르면 지난 26일 열린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분과위원회에선 발생 감소 상황이나 위중증 환자 및 치명률 감소로 이어지기까지 1~2주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됐다.



위원회에선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의 증상이 약하더라도 확진자가 증가하면 입원자 및 위중증 환자 수가 늘어 의료체계 부담이 가중되므로 점진적인 일상 회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경구용 치료제 도입과 적용 시기를 단축하기 위한 노력, 오미크론 변이와 관련해 국내 치료 지침 개정의 필요성 등도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