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를 태평성대의 원년으로 만들자
새해를 태평성대의 원년으로 만들자
  • 충청타임즈
  • 승인 2010.01.03 21: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문종극 <편집국장>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됐다.
새해 국민들의 소망은 개개인에 따라 각양각색이지만 결국 평안으로 귀결된다.

교수들이 선정한 경인년 사자성어(강구연월·康衢煙月) 처럼 새해는 태평성대의 해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한마음으로 함께 노력하면 영원히 번영할 수 있다'는 뜻의 '일로영일(一勞永逸)'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일로영일'의 자세로 선진 일류국가로 가는 초석을 확실히 다지겠다는 의지를 신년사를 통해 밝혔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나라가 되었다"고 덧붙인 이 대통령의 신년사는 결국 새해에는 나라의 품격을 높이겠다는 국격(國格)제고를 강조한 것이다.

대한민국의 선진국 진입은 새해 덕담 수준이 아니라 현실이 되고 있다.

이 대통령의 신년사까지 역대 대통령의 신년사를 들여다보면 그럴시기가 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집권한 60년대는 경제부흥을 통한 국가재건이었다. 후진과 빈곤에서 허덕이던 농촌부흥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저축, 식량증산, 건설, 수출 등이 화두가 됐다. 자립경제 기반구축과 국가안보를 강조하는 '국력은 힘'이라는 슬로건이 60년대 박 전 대통령의 신년사에서 자주 등장한다.

역시 박 전 대통령의 집권기인 70년대는 근면·자조·협동 정신이 강조된 새마을운동에 초점이 맞춰진 가운데 8·15 저격사건, 북한의 땅굴사건 등으로 자주국방이 더욱 강화됐으며, 중화학공업 육성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룬 박 전 대통령은 79년 신년사를 끝으로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대통령의 신년사가 없었던 80년을 뒤로 하고 맞은 81년부터 7년간의 전두환 전 대통령 집권기에는 정치·사회적 격변기였던 암울한 시기였음이 여지없이 신년사에서 나타난다.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이 지적되면서 안정과 질서, 화합과 협력을

강조한다.

민주세력의 끈질긴 투쟁으로 이뤄진 6.29선언으로 국민 직접선거를 통해 집권한 노태우 전 대통령의 89년 신년사는 민주주의 시대 및 자유와 자율이 유난히 강조되면서 서울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 효과를 톡톡히 누리게 된다. 노 전 대통령은 전 전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제5공화국 비리에 발목이 잡힌채 임기의 대부분을 보낸다.

문민정부로 일컬어지는 김영삼 전 대통령이 집권한 9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세계화와 역사바로세우기가 화두가 된다. 그렇게 세계화를 부르짖던 문민정부는 급기야 IMF(국제통화기금)의 지원을 받아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됐고 국민들을 고통속에서 구하지 못한 채 정권을 넘기게 된다.

국가 파산위기속에 정권을 잡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국민의 정부는 경기침체와 실업난에 시달린다. 민주정권으로 대별되는 국민의 정부는 금모으기, 실직가정돕기 등 구국운동을 전개했다. 그런 가운데 김 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해 포용정책을 펴게된다. 적극적인 외교정책을 비롯한 월드컵과 부산아시안게임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면서 국제적 위상을 높여나간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참여정부는 2005년 신년사는 온통 경제 걱정이었다. 늘어나는 신용불량자, 가계부채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하는 특히 서민경제 문제가 집권 중반을 넘어서면서 잡혀가게 된다. 그러면서 국가균형발전 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지금은 세종시 문제가 시작된 것이다. 집권내내 이어진 경제문제는 이명박 정부를 탄생시키는 데 결정적 계기가 된다.

이렇듯 대한민국의 성장에 비해 국제사회에서 아직까지도 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국격제고에 전적으로 동감한다.

새해를 빈부격차가 줄고 서민들의 주름살이 펴지는 태평성대의 원년으로 만들어보자. 그러면 국격은 자연스럽게 높아지리라는 생각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