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와 서원대학교
지역사회와 서원대학교
  • 문종극 기자
  • 승인 2008.06.25 23: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문 종 극 편집부국장

첨단산업화, 고도정보화, 세계화가 일반화된 오늘날 대부분의 대학은 상아탑 안에서만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고급 연구인력과 시설 등이 캠퍼스 밖과 연계될 때 국가는 물론 주변 지역사회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지역사회는 그 지역안에 있는 대학과의 연계를 끊임없이 모색한다.

기실 대학들도 지역사회의 요구를 받아들이기만 하는 수동적인 자세를 취하지는 않는다. 보유하고 있는 지식, 정보, 기술 등 대학의 가치를 지역사회와 교류하는데 적극적이다.

이제 대학은 연구와 교육 본연의 기능을 앞세워 캠퍼스 안에 고정시켜놓는 전근대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고 있는 것이다. 물론 대학이 살아남기 위한 한 방법으로 외부와의 연계를 택하고 있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지만 이는 분명 시대흐름이다.

첨단산업화, 고도정보화, 세계화 등의 시대조류가 그렇게 만들고 있는 것이며 발전적 경쟁을 추구하는 지역사회가 대학을 캠퍼스에서 끌어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오늘날의 대학은 캠퍼스로부터 누가 먼저, 더 멀리 벗어나느냐를 경쟁력 제고의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지역과 연계한 지역발전의 한 축을 담당하면서 그를 통한 대학발전도 꾀하자는 것이다.

이같은 시대흐름에 따라 대학과 지역의 밀착도는 점점 공고해지고 있다. 연구결과물을 지역발전을 위해 적용하는 사례를 비롯한 교육, 봉사 등 대학과 지역이 상호 적합성을 융합해 나가고 있다.

특히 최근 자주 접할 수 있는 민·학 또는 관·학 협력 등은 지역대학과 지역사회가 상호보완적으로 밀접한 협력적 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례로 서울 관악구와 서울대는 관·학 협력을 통해 '윈·윈' 효과를 얻고 있으며 청주에서는 서원대학교와 청주 모충동이 관·학 협력을 통한 교류를 통해 상호 발전을 꾀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이처럼 지역대학과 지역사회는 상호협력관계로 '윈·윈'하는 시대를 함께가고 있다. 이는 최근 서원대 학내문제에 지역 시민단체가 나선 이유이기도 하다.

서원대의 학내갈등에 지역 시민단체가 조정역할을 자처하고 나섰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등 24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지난 23일 서원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해결을 촉구했다.

지리멸렬하게 이어지는 서원대 학내갈등에 지역사회가 나선 것이다.

지역과 대학은 상호관계라는 연장선상에서 볼 때 서원대의 내부갈등이 지역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에도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장기화되고 있는 이 문제를 더 이상 지켜만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서원대의 문제를 안타깝게 바라보고 있는 지역의 많은 사람들에게는 아주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현 이사장이 부채해결을 위해 납득할 만큼 개인재산을 출연했다고 보기 어려우며 구체적인 부채해결 대안을 제시할 의지 또는 능력이 없다면 지역사회와 대학 교육의 미래를 위해 경영권 포기를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시민단체의 의견을 대학당국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하다.

창학·사학이념 등의 거창한 논리를 차치하고라도 이사장은 알량한 몇푼의 돈으로 대학을 소유하려해서는 안되며 교수를 비롯한 구성원들은 헤게모니를 염두에 두고 난장정치를 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다.

모두가 사심을 버리고 순수한 마음으로 대학 정상화에만 몰두해야 한다. 툭하면 튀어나오는 학내갈등에 염증을 느낀 지역사회가 자칫하면 서원대를 외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