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언의 스승 책
무언의 스승 책
  • 김우영 <작가. 한국문인협회>
  • 승인 2013.09.09 2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우영의 에세이-우리말 나들이
김우영 <작가. 한국문인협회>

송나라 진종 황제는 “글을 읽어야 부귀와 영화를 누릴 수 있고, 좋은 논밭도, 좋은 집, 좋은 종도 다 글 가운데 있다”고 하였다. 세기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에서 “학문은 번영의 장식이며 가난의 도피이며 노년의 양식이다”고 갈파했다.

책을 통해서만이 진솔한 삶을 깨우치고 인생의 지혜를 짜낼 수 있다는 옛 성인들의 말이다.

지난날 어둡고 긴 젊은 날에 그래도 작은 빛이 되어 내일의 삶을 헤아리게 한 것이 바로 책이었다. 답답하고 지루한 나날 속에서 시름을 잊고자 손에 책을 들었다. 마구 부딪히는 냉엄한 현실을 용해시킬 만한 힘이 없는지라 도피의 일환으로 책을 들고 산이나 들에 누워 씨름했었다.

그때 읽었던 책들은 비교적 수양서 쪽이었다. 홍자성의 ‘채근담’,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알랑의 ‘행복론’, 안병욱의 ‘네 영혼이 고독하거든’ 등이다.

뒤늦게나마 독후감을 정리하기 시작하여 150여 편의 내용을 기록해 놓았는데 그 독후감 노트를 펼쳐 보면 당시의 생활들이 생생히 떠오른다. 젊은 나날에 왜 그리 먹장구름은 많게만 느껴지던지. 절망도 좌절도 많이 했던 시절에 고통을 뛰어넘어 파란 내일을 헤아릴 수 있게 했던 힘은 아마도 무언의 스승인 책으로부터 비롯되었던 것 같다.

절망의 순간, 책 속으로 몰입하다 보면 어느새 사라져 버리고 무한한 지적호흡이 생기있게 숨 쉬었다. 어린 나이라도 책이란 참 편리하고 좋은 것이라고 느끼기 시작하였다. 자신의 미래상을 놓고 방황하던 그 시절에 책을 대하지 않았다면 삐뚤어진 사고에 빗나간 생활이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철학자 안병욱님은 말했다. “책 속엔 진리의 말씀이 있고, 슬기의 샘터가 있고, 이론의 공장이 있고, 뮤즈의 노래가 있다.” 

항상 반복되는 획일적인 생활 속에서 지식과 정서의 갈증을 어디서 풀 것인가. 책을 통한 충만감 외에 또 무엇이 있겠는가. 이렇게 좋은 독서가 우리 주변에서 자꾸만 줄어드는 것 같아 안타깝다. 우리나라 독서 인구는 1년에 1인당 평균 1권인데 일본은 13권, 미국은 45권이다. 너무 책을 안 읽는 국민이다. 지척 앞의 ‘시각문화’ 보다 ‘정신문화’ 경시 풍조가 심해지는 것은 산업 사회의 소산인 듯하다. 환경적 제도도 문제라 생각한다. 외국의 경우는 1백3명당 도서관이 12개 있다 하는데 우리는 과연 얼마나 있는가 살펴볼 일이다. 

옛날 성현들은 가정에 3가지 즐거운 소리가 있다고 했다. 첫째는 아기 울음소리요, 둘째는 베 짜는 소리요, 셋째는 책 읽는 소리라고 말이다. 가정에서, 직장에서, 차 안에서, 일터에서 손에 책을 들고 사는 생활이 만연된다면 오늘날 같은 메마른 사건들이 사라지지 않을까.

우리가 왜 책으로 가야 하는가? 이유는 간단하다. 책에는 인생과 삶, 그리고 세상의 길이 있기에 그렇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