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는 매의 눈을 가져야 한다
유권자는 매의 눈을 가져야 한다
  • 충청타임즈
  • 승인 2012.04.05 08: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오창근 칼럼니스트

교통체증이 심한 사거리에서 율동을 하며 허리를 굽히는 총선 후보자를 보며 4·11총선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실감할 뿐이지 민의를 대변하는 국회의원 후보자들의 면면과 그들이 내세운 공약을 일반 시민이 자세히 알기는 어렵다.

그래서 시민사회단체는 도내 후보자들에게 30대 총선 의제를 만들어 질의서를 보내 그 결과를 발표해 유권자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이는 학연·지연 등의 왜곡된 문화를 배척하고 유권자가 참여하는 정책중심의 선거문화를 정착시키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다. 이는 우리나라 선거가 후보자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에 의존하여 지역을 대표할 인물을 뽑아야 한다는 한계성을 갖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문제는 이러한 질의서에 몇몇 후보자가 성실히 답변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각 후보의 선거진영이 몹시 바쁘다는 것을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유권자의 알권리를 위해선 반드시 성실하게 답변할 책임이 후보자에겐 있다.

그러나 답변을 거부하는 후보자나 무성의하게 간략하게 찬성·반대만을 기재해 발송하는 후보자의 모습을 보며 아직도 정책과 공약이 아닌 길거리에서 악수를 건네며 얼굴 알리는 것이 선거에 더 유리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지 않나 의심스럽기까지 하다.

더욱이 자신이 속한 당론과 전혀 다른 답변을 한 후보를 보면 과연 질의서를 제대로 읽어보고 답변한 것인가 의문이 든다.

국회의원을 뽑는 기준은 여럿이지만 그중에서 유권자 다수가 엄중한 잣대를 들이대는 것이 도덕성이다. KBS1 라디오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19대 총선 투표자 1366명에게 4·11 총선 후보자의 선택 기준을 질문했더니 응답자의 56%가 도덕성을 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지목했다. 그 다음이 추진력(39%), 공약(37%) 그리고 소속정당과 참신성을 기준으로 선택했다.

이는 18대 총선 지지후보와도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도덕성은 그 사람이 살아온 길과 사람의 됨됨이를 말한다. 올곧게 살고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지 않고 성실하게 산 사람이 일 잘하는 사람보다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은 아직도 우리 사회에서 높은 자리에 앉을수록 타인의 귀감이 되어야 한다는 전통적 가치가 살아 있기 때문이다.

후보자의 공약과 정책관련 답변서는 선거에서 출사표와 같다.

유권자는 공약을 잘 살펴 현실 가능성을 따져 자기 권리인 한표를 행사하게 된다.

후보자가 공약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재원마련 방안이 공약 안에 명시되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공약도 그것을 가능케 할 재원이 없으면 뜬구름 잡는 소리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국회의원의 권한으로 할 수 있는지를 따져봐야 한다.

후보자 토론회를 보다 보면 국회의원 권한 밖의 것을 한다고 우기는 모습을 종종 본다.

국회의원이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것도 아니며 사안에 따라선 자치단체장의 권한을 침해할 수도 있는데 공약으로 내건 것을 보면 상식 밖이란 생각이 든다.

선거는 자신을 드러내는 과정이며 공인으로서 유권자에게 심판을 받는 과정이다.

후보자가 아니면 모르고 넘어갈 수 있는 일도, 때론 알고도 넘어갈 수 있는 일도 모두 공개된다. 논문표절 같은 것은 관심을 두고 보지 않으면 이슈화 될 수 없는 사안임에도 국회의원 후보자가 된 순간 모든 검증과정을 달게 받겠다고 공증한 것과 같아 이 모두가 세인의 관심을 끌게 된다.

과거 우리는 청문회 자리에서 다운계약서나 위장 전입 문제로 고위 공직자가 낙마한 경우를 숱하게 보았다.

유권자는 매의 눈을 가지고 후보자를 살펴야 한다. 그래서 후보자의 도덕성과 공약을 살피고 따져야 한다. 유권자의 의식 수준이 후보자를 선별할 유일한 도구이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