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공무원 폭증…움직이는 中企(?)
부부 공무원 폭증…움직이는 中企(?)
  • 엄경철 기자
  • 승인 2012.12.13 21: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분보장·수익 안정적
청주시청 355명 달해

사무관급 이상 월급

웬만한 中企사장보다 ↑

女, 배우자 선호도 1위

오랜 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의 신분보장과 안정적인 수익의 공무원 배우자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부부공무원이 크게 늘고 있다.

13일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20~30대 미혼남녀 1000명을 조사 분석한 ‘미혼남녀의 이상적 배우자상’ 보고서에 따르면 여자들이 희망하는 배우자의 직업으로 13.1%가 공무원·공사직원을 꼽았다. 9년 연속 공무원이 1위를 차지한 반면 과거 선호도가 높았던 교사는 6.8%로 사무직(7.8%), 금융직(7.1%)보다 낮았다.

남자의 신붓감 직업은 교사가 13.2%로 1위를 차지했고, 공무원·공사직원이 12.4%로 뒤를 이어 여전히 선호도가 높았다.

◇ 부부공무원 얼마나 되나

이같은 사회분위기를 반영하듯 지자체의 부부공무원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청주시에 따르면 본청, 구청, 사업소 등에서 근무하는 부부공무원은 102쌍 204명이다. 충북도청 등 다른 자치단체에서 근무하는 배우자 공무원 151명을 포함하면 청주시청의 부부공무원은 355명에 달한다. 13일 기준 청주시청 정규직원 1776명의 20%에 육박하는 인원이다.

◇ 움직이는 중소기업(?)

청주시청에 근무하는 J씨는 1992년에 임용, 21년째 공무원 생활을 하고 있다. 같은 직장 동료인 부인은 J씨보다 6개월 먼저 공무원에 임용됐다. 20년이 넘도록 공직생활을 하고 있는 6급의 두 부부가 매월 지급받는 월급의 실수령액은 모두 500만원을 훨씬 넘는다. 중·고교에 다니는 두 자녀를 키우며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준의 월급이다. 임용기간이 20년을 넘어 연금대상이기도 하다. J씨가 정년까지 40년 이상 근무하면 두 부부는 퇴직 후 각각 매월 250만원 이상의 연금을 받는다. 두 부부 중 한 쪽이 일시불로 연금을 수령해도 되고 매월 월급식으로 받아도 된다. 퇴직후에도 500만원 가량의 월급을 보장받는 셈이다.

사무관급 이상 부부공무원의 월급수준은 웬만한 중소기업 사장보다 높다. 4급 서기관인 G씨는 연봉이 7000만원대다. 소방서 사무관인 배우자의 연봉 5000만원대를 포함하면 두 부부의 연봉이 1억원을 훌쩍 넘는다.

지난달 결혼한 8급 L씨도 청주시청 부부공무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8년차 공무원인 L씨와 3년차 공무원 배우자가 받는 두 사람의 월급을 합하면 300만원에 달한다. 지방 중소기업에서 20여년 근무한 일반 사무직 월급 수준이다.

◇ 여행사의 마케팅 대상

부부공무원인 A씨는 아내와 함께 골프, 스키 등을 즐기며 취미생활을 만끽한다. 40대 후반 나이의 A씨 부부가 한 달에 받는 월급은 모두 600만원대다.

2년전 퇴직한 B씨는 40년 이상 근무해 매월 250만원 이상의 연금을 받는다. 부부공무원이었던 B씨 부인은 아직도 현직에 있다. 두 자녀를 출가시킨 B씨는 올 봄 부인과 함께 유럽여행을 다녀왔다. 퇴직 후에도 현직만 못하지만 일정 액의 연금을 받고 있어 넉넉한 삶을 영위하고 있는 것이다.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부부교사를 중심으로 영업을 했던 여행사들이 이제는 일반공무원 부부를 마케팅 대상으로 하는 등 패턴이 바뀌었다.

◇ 공무원 배우자 선호

청주시청 인사담당 관계자는 “안정적인 직장과 좋은 경제여건이라는 장점이 있는 공무원들 간 결혼하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며 “공식 집계를 한 것은 없지만 직장내 분위기가 그런 추세로 간지 오래됐다”고 말했다.

지난달 결혼한 부부공무원 L씨는 “미혼인 젊은 공무원들 사이에서도 되도록 같은 공무원을 배우자로 선호하는 경향이 높다”며 “주원인은 신분보장, 경제적 측면에서의 안정성이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같은 공무원이라도 월급이 일반공무원보다 높은 교육공무원(교사)에 대한 배우자 선호도가 최근에 낮아진 것은 학교현장의 열악한 근무환경 탓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과거 부부교사가 많았던 것은 일반공무원보다 높은 월급과 방학 등을 이용해 여유로운 생활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교육현장이 체벌 금지 등 갈수록 근무환경이 어려워지면서 선호도가 일반공무원보다 낮아지는 이유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