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는 꽃도 눈부시구나
지는 꽃도 눈부시구나
  • 백범준 작명철학원 해우소 원장
  • 승인 2024.04.10 19: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간의 문앞에서
백범준 작명철학원 해우소 원장
백범준 작명철학원 해우소 원장

 

꽃 천지다. 굳이 눈여겨 볼 것도 없이 둘러보아 눈부시고 흔들리고 흩날리면 모두 꽃이다. 봄이 그렇다. 따듯한 봄볕에 강요받았을리도 따스한 봄바람에 협박받았을리도 없는 살아 있던 것들은 끝내 살아남아서 스스로의 생존을 서슴없이 증명한다. 그것들의 생존신고는 가히 찬란하고 심히 요란하다. 그도 그럴 것이 사람들 홀린 것도 죄가 된다면 죄이겠지만 그 죄에 비해 너무도 가혹한 겨울이라는 한 계절 동안 가택연금이 되었던 그들이었다. 그에 대한 적절한 보상으로 백일은 붉어야 마땅한데도 달포는 고사하고 고작 열흘 남짓이 그들에게 주어지는 시간이다. 열흘 남짓의 화려한 외출에 세상에 대한 앙갚음으로 그들은 다시 꽃 피운다. 이것을 본 인간들은 이내 설레고 마냥 홀리다 끝내 현혹되어 꽃 지고 봄 가면 꽃 피던 봄날을 내내 그리워할 것이다. 이러고 보면 꽃 피운 것도 죄라면 죄다.

봄바람 스치는 곳 봄볕 닿는 곳 어디든 꽃피는 봄이겠지만 필자는 이즈음 꽃 보러 절집을 찾는다. 그중 오늘은 구례 화엄사 이야기다. 화엄사는 홍매화가 유명하다. 두 번 찾아서 보았다. 매화는 반쯤 피었을 때가 벚꽃은 활짝 피었을 때가 복사꽃은 멀리서 바라볼 때가 환상적이고 배꽃은 가까이 보아야 자태가 드러난다는 법정스님의 글을 접한 적 있다. 그래서 한번은 만개할 시기에 한번은 반개할 즈음에 찾았다. 그러나 꽃 보고도 꽃 모르는 화맹(花盲)인 필자의 눈에 꽃이란 만개(滿開)도 반개(半開)도 가까이 봐도 멀리서 바라봐도 다시 봐도 그저 곱고 그저 환상적인 꽃일 뿐이었다.

혹여 화엄사 홍매화를 만개(滿開)든 반개(半開)든 가까이든 멀리서든 꽃 피운 것만 봤다면 그것은 반만 본 것이라 하더라. 콧구멍에 홍매화 암향(暗香) 머금고 화엄사 산문 나서는 길이었다. 길가에 봄 푸성귀로 난전 펼쳐놓은 허리 굽은 노파가 말을 거신다. 호객행위 아닌 호객행위였다.

“매화 참 곱지요잉?”

“네 너무 이쁘네요 할머니”

진작에 굽었을 그래서 펴질리도 펴지지도 않을 등허리에 손 얹으며 말 잇는다.

“아고 아고 꽃 다 지기 전에 한번은 봐야 할틴디. 코앞에 두고도 우리 부처님도 보살님도 한번 못 뵈고 매화구경도 못허고. 팔아야 가든 말든 헐틴디. 오늘도 못 팔믄 염생이새끼나 토깽이새끼헌테 쥐삐리든지 혀야지. 아까워서 워쨔. 값 좋으면 뭐혀. 왔다갔다 길바닥에 뻐쓰비나 내삐리고. 밥 처묵고 헛짓거리 했구마이”

“이게 뭐에요? 할머니” 왠지 물어야만 할 것 같았다.

“물 맑은 섬진강물 먹고 봄볕 보고 자란 나물이요. 사가므는 다 집에 사람이 어련히 알아서 무치고 데치고 해줄틴게 암말 말고 들어가쇼. 때 만나고 인연 맞아서 마침 싸게 주는 거니께. 암말 말고 흥정 말고 들어가쇼. 사람이 봄에는 봄나물도 먹고 그래야 기운도 나고 그러는 거니께”

산다는 말은 하지도 안했다. 가격은 묻지도 않았다. 단지 무엇이냐고 물어봤을 뿐인데 이것저것 이름도 모르는 봄나물이 꾹꾹 담긴 검정색 비닐봉지가 어느덧 한 손에는 쥐여 있었고 다른 한 손으로는 돈을 건네고 있었다.

물어 본적 없어 알 리도 없는 나물 값이라 건넨 돈에서 거슬러 받을 돈 있기는 하려나 쭈뼛거리자 거스름돈 대신 한 말씀 덧붙이신다.

“여그 절집 매화 질 때는 본적 없지요잉? 나가 여그로 시집와서 절집 매화 숱하게 봤지요잉. 폈을 때도 참 고븐디 꽃잎 떨구기 시작하믄 찡헌게 여그 홍매화요. 피는 것만 보고 지는 거 못 봤으믄 반만 본거 아니겄오. 여그 절에는 관셈보살 문수보살 뭔 보살 뭔 보살 천지로 계셔도 매화가 참 보살은 참 보살요. 담주면 떨구겄는디. 볼 것도 없이 오셔. 그날도 거저 드릴게”

맞다. 어찌 피는 꽃만 곱겠는가. 어찌 피운 꽃잎인데. 어찌 나온 세상인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