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 속 위기계층 살펴야
물가상승 속 위기계층 살펴야
  • 하성진 기자
  • 승인 2023.11.19 17: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하성진 부장(취재팀)
하성진 부장(취재팀)

 

지금, 우리나라는 먹거리는 물론이고 안 오른 게 없을 정도다. 물가상승으로 곳곳에서 탄식이 절로 나온다.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월급만 제자리”라는 푸념이 나온 지 오래다. 우선 체감물가를 논하기 전 공식적인 데이터만 봐도 물가상승은 입증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10월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상승했다.

원유와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기상 이변에 따른 작황 부진이 주원인이다.

가장 큰 문제는 먹거리 물가 상승이 몇년 째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4.4%,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5.9% 올랐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도 5%대 상승이 점쳐진다.

3년 연속 5% 이상 상승은 2009~2011년 이후 처음이다. `오를 만큼 올랐으니 더는 오르지 않겠구나'하는 기대는 물거품이 됐다. 물가상승은 결국 서민피해로 이어진다.

오죽하면 지난 추석 때 장보기가 겁난다며 아예 명절을 지내지 않는 가구가 생기거나, 명절음식을 밀키트로 대체하는 일이 생길까 싶다.

피앰아이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41.2%는 명절 음식을 직접 만들겠다고 답했으나 19.3%는 밀키트를 활용할 예정이라고 했다. 20대는 4명 중 1명꼴(26.5%)로 밀키트를 사용해 추석 음식을 준비하겠다고 답했다.

또 명절에 상황에 따라 음식을 배달시켜 먹겠다는 답도 응답자의 15.5%에 달했다.

주요 먹거리 가운데 가격이 안 오른 제품이 없을 정도다. 국민 과일인 사과, 배는 물론이고 우유, 계란, 육류에서 가공식품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식재료 가격이 하루가 다르게 오르고 있다.

배추와 대파 가격은 지난해보다 거의 50% 폭등했다.

물가상승은 서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착한가격업소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외식업(70%)에도 직격탄을 주고 있다.

식재룟값은 연거푸 오르면서 수지 맞추기가 힘들어졌고, 결국 문패를 반납하는 식당이 늘고 있다.

충북의 착한가격업소는 2019년 330곳이었으나, 이듬해 314곳, 2021년 316곳, 지난해 291곳으로 해마다 줄어드는 추세다.

늦게라도 정부가 물가 잡기에 나선 것은 고무적이다.

정부는 지난 9일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소집하고 각 부처 차관을 물가 책임관으로 하는 특별물가안정체계를 가동했다.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교육부, 행정안전부 등 10개 부처가 참여하는 일종의 물가 현장 대응 컨트롤타워다.

각 부처 차관은 농·축·수산물 생산·유통 현장, 의류·신발 업계 등 현장을 직접 뛰며 물가에 부담을 주는 요인들을 발굴하고 공조가 필요한 사안은 회의 안건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달 말까지 한국소비자원을 중심으로 주요 생필품 가격 실태조사를 추진하고 소비자 알권리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의 전방위 대응으로 배추·상추 등 일부 채소류 물가가 하락하는 등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 물가 상승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 사과 등 일부 과일은 할인 지원에 힘입어 가격 상승 폭이 줄었다고 한다.

대책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물가상승 요인이 없는데도 분위기를 틈타 슬그머니 가격을 올리는 행태는 반드시 막아야 한다. 무엇보다 하루 한 끼로 간신히 버티고 있는 위기의 취약 계층을 적극적으로 찾아내 제때 도움을 줘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