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에 육아휴직 2년…고용장관 "저출생 해법은 워라밸"
유연근무에 육아휴직 2년…고용장관 "저출생 해법은 워라밸"
  • 뉴시스 기자
  • 승인 2024.03.18 14: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용부, '일·생활 균형 정책 세미나' 개최 사례 공유
롯데그룹·재담미디어 등 근무혁신 우수기업 '눈길'



- 롯데그룹은 2012년 9월 대기업 최초로 '자동육아휴직제'를 도입해 별도의 신청 절차나 상사의 결재 없이 출산휴가 후 1년 간 육아휴직을 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017년부터는 그 기간을 2년까지 연장했다. 여기에 배우자 출산 시 남성 직원에게 최소 1개월 이상 의무적으로 육아휴직을 부여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입학 자녀 양육 시에는 최대 1년 간 '자녀돌봄 입학 휴직제도'도 실시 중이다.



- 웹툰 콘텐츠 전문 기업인 재담미디어는 오전 8시부터 11시 사이에 자율 출근하고, 7.5시간 근무 후 퇴근하는 시차 출퇴근제를 운영하고 있다. 대신 매일 오후 1시부터 오후 3시까지를 '집중 근무시간'으로 지정해 업무 효율성에 주력하고 있다. 또 불필요한 야근을 없애기 위해 '연장근무 사전 승인제'를 시행 중이며, 초과근로 시에는 근무결과 보고서 작성 및 별도 휴무일 지정 등을 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18일 오후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일하는 부모와 출산·육아휴직 제도 및 근무혁신 우수기업,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일·생활 균형 정책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 같은 사례를 공유했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저출생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법이 제안되고 있는 가운데, 이른바 '워라밸'이라 불리는 일·생활 균형이 가장 중요한 해법이라는 판단 아래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문가 발제에서는 황인도 한국은행 금융통화연구실장이 '우리 사회의 지속 가능성과 일자리 그리고 일·생활 균형'을 주제로 고용노동 정책의 역할과 중요성을 발표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초저출산은 그 수준과 지속 기간 면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심각하고,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성장과 분배의 양면에서 큰 어려움을 맞을 것"이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했다.



'유연근무제 활성화와 출산율 제고'를 주제로 발제한 손연정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원은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는 자녀 양육 부담 완화, 일·육아 병행 등 모든 국가 정책을 출산·양육 친화적으로 확립하는 전방위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최근 육아기 여성의 유연근무제 활용률과 수요가 집중되는 등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유연근무제 활성화를 위한 조직 내 신뢰 구축과 정부 차원의 정책 시행을 통한 국가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산·육아제도 및 근무혁신 우수기업으로 참석한 롯데그룹과 재담미디어 등 9개 기업의 인사 담당자는 운영 성과와 도입 노하우를 소개하는 한편, 현장에서 느끼는 고민과 필요한 정책을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기도 했다.



정부는 올해 '6+6 부모육아휴직 제도' 시행,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의 지원 수준 및 기간 확대 등 육아지원 제도가 근로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적극 시행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중소기업 등 현장에서 눈치가 보여 제도 사용이 어렵다는 호소를 감안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신청 근로자의 업무를 분담하는 동료 근로자 보상을 위한 지원 제도를 신설하고, 대체인력 지원을 강화하기로 햇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저출생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제"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은 '일과 생활의 균형을 회복하는 고용노동정책"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의 사고 방식과 틀에 갇힌 관성적인 정책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모든 것을 원점에서 고민해 정책을 재설계해야 한다"며 "앞으로 세미나를 매월 운영해 현장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