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이펜드
스타이펜드
  • 이재경 기자
  • 승인 2024.03.04 1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이재경 국장(천안주재)
이재경 국장(천안주재)

 

스타이펜드(Stipend).

봉급이나 급료를 뜻하는 영어 단어인데 연구기관이나 학계에서는 대학원생(또는 동등 이상 자격의)이 학업 및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매달 일정 수준으로 지급하는 장려금을 말한다. 미국과 영국, 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보편화된 제도인데 학교가 대학원생에게 지원해주는 생활비 개념이다.

주로 이공계 대학에서 활용하는 제도인데 선진국들은 스타이펜드를 통해 학생들의 이공계 진학을 유도하고 과학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늦었지만 2019년부터 스타이펜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국립 연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원(KAIST), 울산과학기술원(U

N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

G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 4곳에서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지원금액은 석사 70만원, 박사 100만원이다. 과기원마다 편차는 있지만 최저 기준 석사 65만~80만원, 박사 100만~117만원을 지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국은 구미 선진국과 달리 사립대를 포함해 일반 대학원에서는 이 제도를 시행하지 않고 있다.

미국의 MIT나 버클리, 스탠포드 등 대부분 이공계 대학들이 지급하고 있는 이 장려금을 한국의 연구생들은 단 한푼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지켜본 정부가 올해부터 국내 이공계 연구생들의 지원을 위해 한국형 스타이펜드를 도입하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6일 민생토론회에서 “국가 연구·개발 과제에 참여하는 모든 전일제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석사는 매월 최소 80만원, 박사는 매월 최소 110만원을 빠짐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를 위해 장학금 규모를 1300억원 가량 증액하고 학부부터 석·박사 과정까지 아우른 전 주기 과학장학금 체계를 확립하는 `대학원생 연구생활장학금(stipend)'을 도입한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국내 과학기술산업을 선도할 이공계 학생들이 학비와 생활비 걱정을 덜고 학업과 연구에 매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제도 도입의 취지다. 학계에서 스타이펜드의 도입은 20여년이란 오랜 기간의 숙원이기도 했다.

일단 학계는 대환영하는 분위기다. 일선 R&D현장에서 연구, 개발에 몰두해야 할 연구생들이 생계 때문에 연구실을 떠나 생업 일선으로 알바를 나가야 하는 수고를 조금이나마 덜어주게 됐기 때문이다.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연구생태계의 가장 말단 계층인 학생 연구자들에 대한 지원이 특정 연구과제를 진행하는 개인 지도교수의 손에 좌지우지되고 있기 때문에 이번 정부의 스타이펜드 확대 시행 발표는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런데 어쩐지 학계에서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올해 정부의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예산이 대폭 줄었기 때문이다.

과기정통부 설명에 따르면 스타이펜드에 사용되는 재원은 기본적으로 연구책임자가 따낸 국가 R&D 사업 예산이다. 즉 과제를 따내지 못한 경우 이미 급여가 삭감되거나 계약이 해지돼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이들이 생긴다는 얘기다.

즉 스타이펜드의 전면 시행이 제대로 이뤄지려면 우선 삭감된 R&D 예산의 복구가 중요하다는 의미다. 재원 확보가 우선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