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2천만원 더 줘야” … 안전관리자 몸값 천정부지
“연 2천만원 더 줘야” … 안전관리자 몸값 천정부지
  • 하성진 기자
  • 승인 2024.01.28 18: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문 결과 건설사 70% 이상 “수급여건 악화”
중소·중견업체 “인력채용 하늘의 별따기” 푸념
경험 없는 자격자 공급보다 필수인력 양성 필요
첨부용. 위 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없음. /사진=뉴시스
첨부용. 위 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없음. /사진=뉴시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전에는 한 달에 400만원을 줬지만, 지금은 500만원을 준다고 해도 안전관리자 구하기가 어렵네요.” 충북의 한 건설업체 대표의 푸념이다.

중대재해처벌법이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확대 적용되면서 안전관리자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가 됐다. 수요·공급이 어긋나는 탓에 덩달이 안전관리자의 몸값도 오르고 있다.

지난 27일부터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되고 있다. 5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안전관리자나 보건관리자 배치 의무는 없다. 다만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제조업 △임업 △하수·폐수 및 분뇨처리업 △폐기물 수집· 운반·처리 및 원료재생업 △환경정화 및 복원업 중 20명 이상 50명 미만 사업장은 안전보건관리담당자 1명 이상을 선임해야 한다.

50인 미만 사업장은 안전관리자 채용이 의무화되지 않았지만, 재해 예방에 전문성도 없고 별도 조직을 둘 여력이 없다 보니 중소기업 입장에선 안전관리자를 선임해 안전 업무를 일임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판단한다.

건설업 같은 경우 업체에 일감을 주는 원청도 중대재해법 시행 이후 자체적인 안전관리자를 둔 하청 업체를 선호한다.

이런 까닭에 업계에서는 `안전관리자 채용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청주에서 건설업체를 운영 중인 박모씨(61)는 “중대재해처벌법이 도입되고 난 이후 안전관리 인력에 줘야 하는 임금이 전반적으로 올라갔다”며 “연봉으로 보면 도입전 보다 최소 2000만원은 더 지급해야 하지만, 지금 당장 일할 사람을 찾기가 어렵다”고 전했다.

경제 사정이 좋은 대기업들은 미리 인력을 확보해놨지만, 중소업체에서는 푸념이 나올 수밖에 없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2022년 발간한 `건설업 안전관리자 수요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수급 확보 방안'에 따르면 설문조사(303개 중소·중견기업)에 응답한 건설사 70% 이상이 `최근 1년간 안전관리자 수급 여건이 악화됐다'고 응답(중소기업 71.6%·중견기업 76.2%)했다.

건산연 관계자는 “경영 여건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 건설기업에서 안전관리자 수급난이 가중될 가능성이 크다”며 “현장 경험이 없는 신규 안전관리 자격 취득자의 공급 확대는 중소·중견 건설기업의 인력 수요와 불일치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경력과 등급 등 건설기업의 니즈에 맞는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긴급히 안전관리자를 대거 육성하기로 했다. 올해까지 안전관리자를 4000명 양성하겠다던 기존 계획을 수정해 2026년까지 2만명을 육성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하성진기자

seongjin98@cctimes.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