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번째 물 넘친 괴산댐 대책 세워라
두번째 물 넘친 괴산댐 대책 세워라
  • 엄경철 기자
  • 승인 2023.07.27 16: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말논단
엄경철 선임기자
엄경철 선임기자

 

지난 15일 괴산댐의 물이 넘쳤다. 1980년 월류에 이어 두 번째다. 국내 댐 중에서 유일하게 물이 넘친 사례로 기록됐다. 괴산댐은 6년 전에도 월류 위기를 겪었다.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는데도 댐 운영 개선은 없었다. 댐 월류로 인한 피해 가능성이 컸었는데도 말이다.

괴산댐은 괴산군 칠성면 사은리 남한강 지류 달천강에 축조된 댐이다. 1957년 완공된 괴산댐은 6·25 전쟁 이후 전력 증산 목적으로 건설됐다. 괴산댐은 남한의 전후 복구 시기의 경제부흥 원동력이었다. 특히 조사, 계획, 설계, 시공까지 순수 국내 기술진이 만든 최초의 발전전용 댐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그런 괴산댐은 1970년대 이후 소양강댐, 대청댐, 충주댐 등 대형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주목받지 못했다. 저수량과 발전량이 다목적댐에 비해 작기 때문이다.

괴산댐은 유역면적 671㎢, 총 저수용량 1532만9000㎥이다. 소양강댐의 유역면적은 4분의 1, 저수용량은 190분의 1에 불과하다.

괴산댐은 그동안 몇 차례 물난리가 있었다.

1980년 7월 집중호우로 물이 넘쳤고, 1984년 7월 댐과 발전소 일부가 손상됐다. 2017년 7월16일에는 월류 위기를 겪었다.

월류 위기로 상·하류 지역에 큰 피해가 발생하면서 댐 운영 개선 논의 계기가 마련됐다.

괴산댐은 댐의 유역면적에 비해 댐 용량이 작은 것이 수해 원인으로 꼽힌다. 따라서 발전용 댐을 가뭄, 홍수에 대비해 다목적댐으로의 보강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다.

댐의 기능전환은 관리 주체를 환경부 산하 수자원공사로 바꿔야 가능하다.

이에 충북도는 2018년 괴산댐의 관리 주체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에서 수자원공사로 일원화해 줄 것을 건의했다. 한수원에서 관리하는 괴산댐의 경우 발전용 댐으로 홍수에 유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워 홍수 시 월류 위험이 높다는 점을 부각시켰지만 성과가 없었다. 그리고 6년 전 월류 위기는 현실로 다가왔다.

전문가들은 괴산댐은 중력식 콘크리트댐으로 월류현상에도 안전함을 강조하지만 주민들은 불안하기만 하다. 지난 15일 새벽녘 괴산댐 월류현상은 3시간 동안 계속됐다. 댐 물이 넘치면서 괴산, 충주의 달천강 주변 주민 8000여명이 보따리도 챙기지 못한 채 긴급대피했다. 농경지, 주택, 시설 등의 피해도 컸다.

해당 지자체들은 이번 집중호우와 댐 월류에 긴밀히 대처해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고 했다. 댐 문제에 적극 대처했다면 6년 전 겪었던 물난리를 되풀이하지 않을 수도 있었던 점은 부각되지 않고 있다.

정부가 괴산댐 운영 문제를 해결했더라면 이번 호우로 인한 주민 대피, 재산 피해를 막거나 최소화할 수 있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물이 넘친 댐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에서 반복되는 피해는 아직까지 공론화되지 않고 있는 분위기다.

괴산댐은 두 번째 월류현상을 통해 홍수에 취약함을 보여줬다. 기후변화로 잦아지는 집중호우 패턴으로 볼 때 댐 주변지역 주민들은 앞으로 매년 피난 보따리를 싸야 할지도 모른다.

괴산댐 문제는 지역주민들의 생존이 달린 중차대한 사안이다. 지역주민들의 생명과 재산에 위협적인 요소 제거부터 서둘러야 한다. 다목적댐을 위한 리모델링 등 댐 기능과 역할에 대한 공론화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