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숭아
복숭아
  • 장민정 시인
  • 승인 2023.06.20 18: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生의 한가운데
장민정 시인
장민정 시인

 

나는 복숭아를 좋아한다. 뽀얗고 노랗고 분홍 빛나는 색감이 눈부시도록 곱지 않은가? 얇은 껍질을 벗기고 한 입 깨물면 입안 가득 퍼지는 달콤한 과즙과 향기는 또 얼마나 좋은지. 그뿐인가? 학생 때 읽은 이상화 시인의 <침실로> 속 농염한 수밀도는 과육을 씹을 때마다 떠올라 상상의 날개를 편다.

결혼하고 아이 낳고 살다가 오랜만에 혼자 친정에 간 적이 있었다. 복숭아가 제철이라고 한 바구니 앞에 놓고 식구들이 둘러앉아 먹고 있을 때였다.

“김 서방이랑 같이 오지 않고?” 친정어머니의 물음에

“미운 사람 뭐하러 같이 와요?”

나 혼자 좋아서 우기고 우겨서 한 결혼이면서 왜 그때 더 좀 뜯어말리지 않았냐며 원망스럽다면서 깨물어 먹고 있는 복숭아마저 왜 이렇게 맛이 없느냐며 생떼를 부렸던 기억이 난다.

“겉만 보고 사 먹는 것, 속을 알 수 있어야지.”

어머니는 “복숭아 하나도 무르지 못하는 것, 하물며 사람 세상은 어쩌겠냐?” 하셨다.

“인연이고 팔자 속이다. 운명이거니 여기며 잘 살아야 헌다.”

어머니의 간곡한 부탁은 지금까지 잊지 못하고 있다.

오랜만에 손자 준호가 왔다. 어미가 직장에 다녀야 해서 아기 때부터 초등학교까지 외가에서 보낸 터라 할미인 나와는 아무래도 각별하긴 했다. 어릴 땐 어미보다 할미를 더 좋아한다고 해서 어미가 서운해하던 기억도 새롭다. 그러거나 말거나 할머니! 하면서 달려와 덥석 안기면 나는 `우리 강아지, 내 강아지'를 연발하며 두 팔을 한껏 벌려 껴안을 때의 벅찬 기쁨은 지금도 입가에 미소를 짓게 한다.

예전 내 아이들 기를 때와 비교할 바 없던 사랑스러움, 세상엔 오직 하나밖에 없는 손자 준호로 여겨졌는데 요즘은 다 컸다는 듯 데면데면 그전과는 다르다. 할미와 손자, 어릴 때는 상호교감이었다면 요즘에 와서는 순전히 할미의 외사랑이다.

“난 너만 생각하면 가슴이 따뜻해진다”고 고백하듯 말하면 눈 한번 찡긋하고 고개를 돌리며 빙긋 웃고 만다. 그런 준호가 대학 졸업과 동시에 취업도 하고 오랜만에 할미를 보러 왔다.

“여자 친구 있니?”

“…네.”

“어떤데? 이쁘고 착해야 하는데?”

우물우물 복숭아를 먹다 말고 멋쩍은 듯 `히잉' 웃더니 딴전 피우듯

“복숭아 맛이 달라요,”한다.

“우리 준호 준다고 맛있게 생긴 것으로 고르고 골랐는데,”

“그러게요. 맛있게 보이는데…. 겉과 속이 다르네요.”

“여자도 그렇거든, 조심해야 혀,”

전부터 염려하고 바랬던 말이 툭, 튀어나온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