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시장과 RE100의 함수
세계 경제시장과 RE100의 함수
  • 연지민 기자
  • 승인 2022.02.07 20: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연지민 부국장
연지민 부국장

 

지난 4일 대선 토론이 열린 후 화제가 되었던 용어가 있다. RE100과 EU택소노미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세계 에너지 정책에 관한 이 질문을 두고, 용어의 개념을 `아네, 모르네'로 정당 간 공방이 이어졌다. 일반 시민들에게 생소했던 용어는, 대선 후보들과는 상관없이 심각한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정책에 대해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화제가 된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은 기업이 제품을 만들 때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캠페인으로 시작됐다. 심각해지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확산한 캠페인은 2050년까지 기업들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태양광·풍력·수력 등 재생에너지로 대체하자는 기업들 간의 국제 협약으로 채택되었다.

그리고 현재 세계의 선진기업들이 RE100에 참여하면서 미참여 기업의 제품에 대해선 과세 페널티를 주겠다는 정책으로 전환하고 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이 RE100 도입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면 세계 시장에서 낙오되는 무역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대선에서의 정치적 공방이 무색할 정도로 지구 환경정책은 새로운 에너지 전환을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지구온난화를 더는 미룰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지난 7일 발표된 `RE100 2021'연례 보고서로도 확인된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RE100에 가입한 기업은 345개로 글로벌 시장을 좌지우지하는 유명 기업들이다. 2020년 기준으로 재생에너지 전환 실적을 분석한 결과, 미국 애플, 알파벳(구글 모회사), 마이크로소프트, 뱅크오브아메리카, 영국 카나리워프그룹, 스위스의 크레디트 스위스, 독일 SAP 등은 RE100 100%를 달성했다고 한다.

세계 기업들이 빠르게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면서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수출입 품목에 대해 과세라는 특단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실제 유럽연합은 재생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은 수출입 품목에 과세를 부과하는 탄소 국경조정제도를 입법화함으로써 지구온난화와 기후위기 극복에 대응하는 녹색성장을 강조하고 있다.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려면 화석연료 감축과 더불어 신재생 에너지를 확대해야 한다는데 한목소리를 내고 있음이다.

이에 국내 기업들도 자발적으로 RE100에 가입하는 추세다. 하지만 지난해 국내기업들의 RE100 전환율은 극히 낮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가장 높은 기업은 LG에너지솔루션으로 RE100 전환율이 33%에 그치고, 아모레퍼시픽은 5%에 불과한 정도다. 그 외에 RE100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수자원공사·SK 계열사 등 가입 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은 제로 상태다. 선진국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 기업의 재생에너지 전환은 걸음마 수준에 그치고 있다.

국내 기업이 아무리 우수한 제품을 만들어 수출해도 과세까지 덧붙일 경우 제품의 경쟁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서둘러 재생에너지 사용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높아진 세계 무역장벽은 국내 경제에 큰 타격으로 돌아올 것이다.

지구온난화나 기후위기는 경제 문제가 아니라도 우리의 삶에 가까이에 있다. 최근 남태평양 섬 통가에서 발생한 해저 화산폭발과 쓰나미는 지구촌 사람들을 불안과 공포로 몰아넣었다. 그런가 하면 미국의 기후학자는 지금 추세 대로라면 한 번도 경험한 적 없는 뜨거운 기온이 찾아올 거라고 경고하고 있다.

지구 위기는 인류의 생존 문제와 직결된다.

인류의 마지막 세대가 되지 않기 위한 우리의 노력만이 미래를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