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후 지역정계·경제 주체 `대변혁'
전쟁후 지역정계·경제 주체 `대변혁'
  • 연지민 기자
  • 승인 2020.06.24 2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북학연구소, 6·25전쟁 70년 기념 포럼 개최
신진정치인들 이승만 정권과 유착 … 지역정계 주도
대지주층은 중·소지주 전락 … 소상공인 주류로 성장
타지역比 인적·물적 큰 손실 … 인구 증가율 크게 꺾여
첨부용. 충북연구원 부설 충북학연구소는 올해 6·25전쟁 70주년을 맞아 24일 '6·25전쟁 70년 충북의 기억과 의미'를 주제로 2020년 1차 충북학포럼을 연다.(사진=충북학연구소 제공) 2020.06.22. /뉴시스

 

6·25전쟁으로 충북은 다른 지역보다 전쟁에 따른 인적 자원의 손실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지주층이 몰락하고 신흥 소상공인이 충북 지역경제에 주류로 성장한 것으로 분석됐다.

충북학연구소는 6·25전쟁 70년을 맞아 24일 충북연구원 중회의실에서 `충북의 기억과 의미'라는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김양식 충북학연구소장은 `6·25 전쟁에 따른 충북 지역 변화'라는 주제의 발제에서 “6·25 전쟁에 따른 막대한 인적 물적 손실은 충북의 인구 증가율을 크게 둔화시켰다”며 “특히 충북은 전국 평균치보다 전쟁에 따른 인적 자원의 손실이 컸다”고 말했다.

실제 1952년부터 1955년까지 충북의 인구증가율은 전국 평균치의 4.8%에 훨씬 못 미치는 0.1%로 조사됐다. 또 1955년부터 1959년까지 전국 평균치 6.7%보다 낮은 6.1%로 조사돼 전쟁에 따른 인구 변동으로 지역 인적 자원에 손실이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또 6·25전쟁은 지역 정계를 나누는 큰 분수령이 됐다고 김 소장은 분석했다.

김 소장은 “전쟁 이후 신흥 엘리트 중심으로 한 신진정치인들이 이승만 전권과의 유착관계를 통해 지역정계를 주도해 나갔다”며 “신진 정치세력이 그들의 고위학력과 지위, 재력을 바탕으로 새롭게 부상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대지주층의 몰락과 신흥 소상공인의 성장이 전쟁 이후 충북의 변화로 꼽혔다.

첨부용. 6.25전쟁 70주년 하루 앞둔 24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서 시민들이 전사자 명비 앞을 지나고 있다. 2020.06.24. /뉴시스
첨부용. 6.25전쟁 70주년 하루 앞둔 24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서 시민들이 전사자 명비 앞을 지나고 있다. 2020.06.24. /뉴시스

 

김 소장은 “일제강점기 충북지역의 지주는 4130명으로 그중 충북지역의 거주자로서 100정보 이상 소유한 한국인 대지주는 모두 16명이었다”면서 “대지주들은 해방 이후 위기를 맞았는데, 농지개혁과 6·25전쟁을 거치면서 거의 모두 몰락하거나 중·소지주로 전락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6·25전쟁 전후로 지역경제의 큰 변동이 초래됐는데 전쟁 이후 1950년대 충북 지역경제를 이끈 인사는 귀속사업체를 불하받거나 새롭게 제조업을 경영하는 신흥 상공인이 주류를 이뤘다”며 “그러나 신흥 소상공인은 정치 지형의 변화에 따라 가변적이고 자본의 영세성을 면치 못해 지역에서 정치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연지민기자
annay2@cctimes.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