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총선 현명한 유권자 선택을 위해
20대 총선 현명한 유권자 선택을 위해
  • 엄경철 기자
  • 승인 2016.02.10 19: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 엄경철 취재1팀장(부국장)

19대 총선 지역이슈는 세종시였다. 세종시 이슈는 청주권 선거 판세에 영향을 미친 사안이었다.

이명박 정부 당시 세종시 수정안 논란이 있었다. 세종시의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행정기관 이전 대신 기업도시 유치라는 수정안이 이슈였다. 충북의 야당은 수정안에 반대했고, 지역유권자들에게 ‘세종시를 살려달라’며 지지를 호소했다. 그리고 야당은 청주권 4석 중 3석을 가져갔다.

4년 전 선거판을 흔든 세종시 사안이 60여 일 앞으로 다가온 20대 총선에서도 이슈가 될까 주목된다.

현재 우려했던 세종시의 빨대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청주, 대전, 공주의 인구가 세종시로 유입되고 있는 것이다.

19대 총선에서 세종시 수혜를 받은 야당은 초기현상일 뿐이라고 한다. 세종시 인접지역에 대한 긍정적 시너지효과가 있다면 더없이 좋은 일이다. 충청권이 세종시의 행정중심복합도시 조성 원칙에 동의한 것도 이런 맥락이었다. 그러나 빨대 효과 우려감은 가시지 않고 있다. 그러니 이번 총선에서 세종시 빨대 효과는 선거이슈 가능성이 크다.

과학비즈니스 벨트와 첨단의료복합단지도 이슈가 됐던 사안이다.

2011년 5월 정부는 대전 거점도시, 청원(오송), 천안, 세종을 기능도시로 하는 과학벨트 입지를 결정했다. 당시 충북도 과학벨트 거점도시 유치에 나서 다른 지자체와 경쟁했다. 과학벨트 핵심분야 중 하나였던 가속기 유치도 함께 진행하게 했다. 과학벨트 거점도시가 안 되면 핵심분야인 중이온가속기 유치라는 대안까지도 염두에 뒀다. 그런데 충청권 공조가 이뤄졌다. 충청권.이 합심하면 그만큼 유치 가능성이 커진다는 논리에 지자체들이 동의한 것이다. 문제는 거점도시를 어느 곳으로 하느냐는 것이었다. 충북은 거점도시를 고수했지만 대전에 밀렸다.

당시 과학벨트 거점도시 포기에 따른 비판론이 나왔다. 이런 비판론에 대해 과학벨트 유치를 주도했던 일부에서 소지역주의적 발상이라며 역공을 폈다. 충청권에 과학벨트가 유치되고 난 후 기능지구는 수백억원이 투입되는 시설만 유치됐다. 반면에 대전 거점지구에는 수조원이 투입되고 있다. 대전은 3개 지자체의 거점지구 시설 일부를 기능지구에 분산시켜달라는 요구를 거절했다.

이제 과학벨트 유치에 나선 이들이 총선에 나설 모양이다. 과연 지역유권자들이 이런 가까운 역사를 알고 있는지, 안다면 어떤 선택을 내릴지 궁금하다.

2009년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가 유력시되자 지역정치권은 앞다퉈 유치대열에 합류했다. 충북도청 바이오산업과라는 별 볼일 없었던 부서 업무로만 여겨졌던 첨복단지 유치사업이었다. 유치 이후에도 지역 정치권이 잔칫상에 숟가락을 얹는데 열을 올렸다. 18대 국회가 시작될 무렵 첨복단지 유치를 위해 해당 상임위인 국회 복지위원회에서 활동해 달라고 요구한 지역사회의 목소리를 무시했던 국회의원들도 있었다.

첨복단지는 대구와 경쟁하면서 현재도 밀리고 있다. 당시 첨복단지에 대한 미래지향적인 부가가치를 읽을 줄 아는 혜안이 있는 지역국회의원을 뽑았다면 어땠을까.

정치를 혐오만 할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선택을 해야 하는 이유를 우린 여러 차례 경험했다. 이번에는 반드시 지역발전을 위한 옥석을 가려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