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의 효율적 배분이 필요하다
축제의 효율적 배분이 필요하다
  • 연지민 기자
  • 승인 2015.09.20 19: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 연지민 취재3팀장 <부장>

가을은 축제의 계절이다. 결실의 풍요로움이 풍성하게 하는 탓에 축제는 가을에 쏠려 있다.

9월과 10월 전국에서 열리는 대형 행사는 어림잡아도 70여 개가 넘는다. 두 달간 하루에 한 번 매일 큰 잔치판이 펼쳐지는 셈이다.

우리나라가 1년 동안 개최하고 있는 크고 작은 축제의 수도 1000개가 훌쩍 넘은 지도 이미 오래고 보면 축제의 일상화란 말도 과언은 아니다.

충북 지역도 가을이 되면 대형 잔치가 줄을 잇는다. 그중 올 9월과 10월에 열릴 것으로 계획된 대형 행사만도 11개다.

지난 9월 청주읍성축제로 시작된 행사는 지난 16일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개막과 지난 19일 괴산세계유기농엑스포 개막으로 떠들썩했다. 특히 두 행사가 국제행사로 치러지다 보니 예산도 70억 원과 190억 원이라는 어마어마한 금액이 투입됐다.

대형 축제의 개막은 곧 시와 군으로 확산할 예정이다. 영동 난계국악축제와 와인축제, 단양의 온달축제, 보은 대추축제, 진천문화축제, 청남대 국화축제, 오송화장품뷰티축제, 청원생명축제 등이 손님맞이 준비에 한창이다. 자치단체마다 1억부터 수십억 원을 투입해 치르는 축제들이 줄줄이 개막을 기다리고 있다. 투자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의 위상을 높이는 효과야 분명하겠지만, 저성장 속에 놓은 한국경제의 위기를 생각할 때 부담스럽기까지 하다.

대형잔치가 몰려 있다 보니 행사를 분산해 개최하자는 목소리도 높다. 지금같이 쏠림식 축제를 유지한다면 자치단체만의 행사로 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행사 주최 측은 해마다 관람객 유치에 비상이 걸렸다. 짧게는 3일에서 길게는 40일까지 대장정의 행사를 치러야 하니 입장권 판매가 발등의 불이고, 강매 소식도 밥상의 반찬처럼 오르내렸다. 축제의 성공이 관람객 수로 평가되는 구조에서 당연한 결과라는 한탄이다.

행사를 알리는 포스터와 현수막이 거리를 도배한다. 제한적 공간에 눈에 띄는 자리를 차지해야 하니 현수막 전쟁은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연일 축제를 알리는 광고를 접하는 시민들의 처지에서 보면 변별력은 사라지고, 오히려 무심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고도 시민들로부터는 ‘했데’로 끝나는 축제가 비일비재해졌다.

이 같이 축제의 범람은 지방자치단체로 전환하면서 열풍처럼 번져났다. 지역과 지역특산물을 알린다는 홍보성 행사로 시작되었지만, 행사의 성공이 단체장들의 성과로 받아들여지며 지역마다 축제에 불을 댕겼다.

민심을 잡기 위한 정치적 셈법에 수많은 축제가 낭비성 행사로 전락한 것도 사실이다. 누구를 위한 축제인가라는 물음에 답할 명분도 사라지고 있는 셈이다.

2014년 청주시가 청원군과 통합하면서 축제의 통폐합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 적이 있다. 비슷한 것은 하나로 통합하고, 낭비성 행사는 과감히 없애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그러나 단 하나도 폐기하지 못한 채 그대로 운영되고 있다. 만들기는 쉬워도 없애기는 어렵다는 이야기다.

그럼에도, 축제를 위한 축제를 위해서라도 효율적인 배분과 점검이 정책적 차원에서 검토돼야 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쏠림방식으로는 축제의 성공을 담보할 수 없다.

엄정한 평가와 역할을 잣대로 축제를 진단하고, 불필요한 것은 없애고, 키울 것은 키우는 전략으로 성공하는 지역축제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