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에 대비하는 우리나라 현황
지진에 대비하는 우리나라 현황
  • 김민주 교사 (증평공업고 교사)
  • 승인 2014.04.09 1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생님이 들려주는 과학 이야기
김민주 교사 (증평공업고 교사)

2014년 4월1일 오전 5시쯤 우리나라 서해안 백령도 부근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지진계를 통한 지진관측시작 이후로 4번째로 큰 지진이다. 수도권 및 충청권 일대는 진도가 2정도로 고층건물의 꼭대기의 사람들이나 민감한 사람들은 지진을 느낄 수 있었다.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 지진 위험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늘었으며, 다양한 계층에서 지진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2년 전 필자도 한반도 지진에 관련된 칼럼을 적은 적이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반도 지진에 대하여 재평가해 보자. 2013년 소방방재청 주관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소의 지진연구센터에서 발간한 지진위험지도 보고서를 참고하여 보자. 지진위험지도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의 횟수와 크기를 분석하여 주기별로 지진이 일어날 확률을 계산한 지도이다. 이 지도에 따르면 2400년마다 우리나라에서 규모 5정도의 지진이 한번 정도 발생할 것이라 예상하며 4800년 주기로 나타나면 규모 6정도의 지진이 한번 정도 발생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한반도 지역 중 경상남북도, 대구광역시의 경우가 조금 더 높은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이런 지진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공공건물의 설계에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지진을 견딜 수 있는 내진 설계가 적용돼 있다. 내진설계의 기준은 1997년 제작된 지진위험지도를 기초로 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는 두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전라남도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지진 규모 2400년 주기로 규모 5이상을 버틸 수 있도록 건물이 설계되고 있다.

공공건물의 경우 기능 수행(약간의 피해가 있더라도 공공건물로서의 기능을 수행)과 붕괴 방지(전혀 피해를 입지 않도록 설계)로 구분하여 설계가 되고 있는 상황으로 모든 건물을 붕괴 방지 수준으로 만들면 좋겠지만 엄청난 철근과 건축 재료가 들어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에 따라 건물의 중요도에 따라 기능수행, 즉시복구, 인명보호, 붕괴방지로 나누어 설계하면 공사비를 줄일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연구가 진행 중이기도 하다.

건축물을 설계하는데 지진 이외에도 다양한 요소들이 고려되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우리나라는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가 많다. 이때 바람이 건물에 미치는 영향을 풍하중이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건축물들은 풍하중을 견디기 위해 견고히 설계된다. 이 덕에 지진에 대한 대비도 된다. 공공건물은 풍하중을 고려한 설계 때문에도 규모 5정도의 지진에 대해선 안전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1998년 이전에 설계된 건축물이나 단독주택에 대해선 조금 더 연구가 필요하다.

지진이라는 것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학자들의 숙제이다. 지속된 연구로 지진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며, 규모 5이상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나타날 피해에 대하여 명확한 사전 조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진에 대해 무턱대고 강하게 건물을 지어 경제적인 낭비를 줄여줄 합리적인 제도 또한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