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칼럼
녹색칼럼
  • 충청타임즈 기자
  • 승인 2006.09.11 10: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송전탑 산사태를 고발한다
박 창 재 < 청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

지난해와 올해들어 대형 산사태 현장을 몇군데 둘러본 적이 있다. 산사태의 위력을 과히 실감할 수 있는 순간 순간이었다. 물청소해논듯 엄청난 양의 흙이 떠내려간 계곡의 바닥은 매끈한 암반만을 드러내고 있었다. 비가 와야만 물이 조금씩 흐르던 작은 또랑은 수십배 깊어지고 넓어져 큰 계곡으로 바뀌었다. 자연이 만들어놓은 큰 계곡에는 덩치 큰 바위들이 수도없이 굴러 내려와 있고 나무들은 뿌리채 뽑힌채로 떠내려와 여기저기 너부러져 있었다.

산정상에서부터 수백미터를 쏟아져내려온 엄청난 양의 흙과 바위 그리고 나무들은 평지에 토해져있었다. 축구장을 뒤덮을 만큼의 양이었다. 그러면서 주변과 평지에 있던 가옥과 전신주, 농경지, 도로, 묘지 그리고 사람 모조리 덮치고 삼켜버렸다. 예전의 흔적은 찾아보기힘들만큼 실로 참혹했다. 목격자의 말에 의하면 돌 굴러가는 소리가 들러는가 싶더니 단 10여초만에 집채만한 흙더미가 우뚝 선 채로 떠밀려왔다는 것이다. 간신히 몸만 피할 수 있었다고 한다.

언제는 단체 사무실로 전화가 걸려와 두 곳을 가본 적이 있다. 두 곳 모두 대형 산사태를 겪었고, 산사태의 발생지가 모두 산정상부의 송전탑이었다. 원인을 알아보니 한 곳은 10년전쯤 송전탑을 세우면서 파고 남은 흙은 물론 벌목한 나무들을 탑 주변에 복토해 놓은 것이 지반이 약하다 보니 수십차례의 집중호우를 겪으면서 결국은 무너져내린 것이다.

또 한곳은 송전탑 비탈면 토목공사를 허술하게 해놓아 이 곳부터 무터져 내린 경우였다. 모두 자연재해라고 하기에는 납득이 어려운 인재였다. 급경사 지형인데다 얇은 표토층을 이루고 있어 집중호우에 흘러내리기 쉬운 곳임에도 송전탑 공사를 하고난후 산사태를 대비해 흙과 나무를 실어내온다든지 탑 밑부분의 지반을 튼튼히 하지 않아 생긴 것이다.

더욱 문제는 2차적인 산사태발생을 막기 위한 대책인데, 대부분 지역에 대해 사방댐을 만들면 다 해결될 듯이 2-3억원의 예산을 편성하고, 적은 예산에 의한 허술한 복구공사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재산과 인명피해에 대해 지자체이건 한국전력이건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있다.

해마다 홍수피해는 물론 산사태피해는 커져만가고 예방적 대책은 미흡하기만 하다. 천문학적인 재해를 부른 산사태를 예방하고 피해를 줄이는 것이 이젠 국가적 화두가 되어야한다. 실제로 활용가능한 산사태 위험지도를 만들고 사전 모니터링을 하여 미리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산림청이 아리랑2호의 촬영자료를 협조받아 실태조사와 대책수립에 활용하기로 한것은 잘 한일이다. 활엽수위주의 조림정책으로 변화를 꾀해야하고 건강한 산림생태계로 가꾸는 일에 매진해야 한다. 조림지역이 아닌 자연림을 인위적으로 간벌한다거나 막대한 예산이 들고 헛수고가 될 가능성이 높은 간벌목 제거계획은 폐기해야한다.

일기예보시 산사태 예보도 해야하고 산사태 조기경보제도 시행해야하며 위험지대의 주민들은 이주시켜야 한다. 사방댐 설치는 지형, 식생, 수서생물 등에 악영향을 주어 자연생태계를 해치는 일이기에 인명피해우려지역에 한해 신중히 검토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건 인위적 해결에 급급해하기보다는 먼저 자연의 이치를 깨닫는 일일 것이다. 즉 산림을 보전,복원하고 인간의 간섭을 최대한 줄이는 일임을 다 같이 명심했으면 한다.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사회를 위해서 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