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인사의 명암
박근혜 정부 인사의 명암
  • 남경훈 기자
  • 승인 2013.02.19 21: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남경훈 취재1팀장(부국장)

인사는 원래 잘 해야 본전이란 말이 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것이 인사다.

박근혜 정부의 초대 내각(內閣)과 청와대 비서진이 진용(陣容)을 갖췄다.

인수위원회가 출범한지 40여일 동안 관심은 온통 누가 국정을 이끌 차기정부 장관이 되고, 청와대에 들어가냐에 쏠렸다. 언론의 초점도 모두 여기에 맞춰졌다. 이런저런 인물이 하마평에 오르내렸으나 이번 적중률은 거의 ‘0 점’에 가깝다.

더욱이 인선 결과를 발표하면서 배경은 물론이고 후보자의 기본적 인적 사항도 공개하지 않았고 박근혜 당선인의 국정 비전과 장관 후보자 발탁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도 설명 한마디 없었다.

‘밀봉 인사’‘깜깜이 인사’라는 불만부터 터져나올 법도 하다.

미국 시민권자였던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선 한국 국적 취득과 미국 국적 포기 여부를 놓고 적잖은 혼선이 일었고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결혼을 했는지에 대해서도 인수위 측은 설명하지 못했다고 한다.

참으로 어설픈 인선 발표 아닌가.

문제는 이렇듯 인선된 후보자 가운데 일부 인사들의 재산과 병역문제를 둘러싼 의혹이 쏟아지고 있다는데 있다. 의혹 내용 또한 등기부등본이나 재산공개 내역, 저서 등을 확인하면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들이다.

김병관 국방, 황교안 법무부 장관에 이어 18일 발표된 허태열 비서실장까지 각종 의혹은 꼬리를 물고 있다.

그 중 김 국방부 장관은 장남에 대한 부동산 편법 증여와 이를 숨기기 위해 고위 공직자 재산신고를 허위로 한 것이 도마에 올랐고 부인의 군납업체 주식투자와 비리 전력이 있는 무기중개업체 고문으로 재직한 것도 추가되고 있다.

다른 장관 후보자들에게 따라다니는 의혹들도 납세나 병역 등 ‘국민의 의무’이자 기본적인 검증사항들로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낙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와함께 ‘성시경’ 인사라는 비아냥도 있다. 성균관대와 고시, 경기고 출신들이 주류를 이룬다는 뜻이다. 특히 호남 인사가 없어 대통합 정신을 퇴색케 하고 있다.

그래도 관심을 끄는 후보자는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윤성규 환경부 장관이다.

중 2 때 부모를 따라 미국에 이민 가 메릴랜드주 흑인 빈민촌에서 자란 김 후보자는 어려운 형편 탓에 고교 1학년 때부터 독립, 편의점 심야 아르바이트와 신문 배달을 하며 학업을 병행했다고 한다. 매일 2~3시간 정도 자면서 공부한 끝에 3년 만에 존스홉킨스대 전기·컴퓨터과학과를 졸업했고 이후 해군 장교로 자원입대해 군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제대 후에는 엔지니어링 회사에 들어가 일하면서 2년 만에 메릴랜드대에서 신뢰성 공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김 후보자는 2005년 노벨상을 13명이나 배출한 벨연구소 사장에 올랐다.

충주 출신인 윤 환경부 장관은 6형제 중 셋째 아들로 집안형편이 어려워 동생들을 위해 일반고 대신 현재의 한국교통대 전신인 5년제 충주공업전문학교(전문대)에 들어갔다. 졸업 후 낮에는 건설부 직원으로 일하고 밤에는 한양대 기계공학과를 다니면서 기술고시(13회)에 합격했다. 1987년 환경청으로 옮겨 20년 넘게 일했고 기상청 차장으로 공직생활을 마감했다.

주경야독(晝耕夜讀)을 통해 ‘장관’이란 자리에 오른 인물들이다. 취업난으로 낙담하는 청년들이 많은 요즘 이들을 보면서 희망을 가져볼만하다. 인사에는 이처럼 명암(明暗)이 교차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