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의무봉, 시인이 참여하는 정치
천의무봉, 시인이 참여하는 정치
  • 박상옥 <다정갤러리 대표·시인>
  • 승인 2012.12.18 22: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타임즈 포럼

박상옥 <다정갤러리 대표·시인>

문학이 순결한 것은 사심이 없어서란 생각입니다. 문창시절 고려대 김명인 교수님은 시인이 시를 씀에 있어서 천의무봉(天衣無縫)을 염두에 두고 써야 한다고 늘 말씀하셨습니다. 천의무봉이란 ‘천국의 옷은 바느질 자국이 없다는 뜻’으로 시(詩)는 꾸민 데 없이 자연스럽고 완전하여 흠잡을 데가 없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시가 순결하고 시를 쓰는 시인도 순결하다면 작품 속 진정성이 읽는 이에게 감동을 주는 것도 순결함 때문이겠지요.

순결함을 생각하면 한 시대 억압의 정치에 분연히 떨치고 일어난 저항시, 농민시, 노동시를 써서 상처받은 민중(국민)을 치유해 준 힘도 희생이란 순결함이었습니다. 한 시대 그런 문학작품이나 시인들이 있었기에 문인들은 가난해도 힘 있고 행복하며, 이런 힘이 세계에서 시인이 가장 많은 나라가 되고 시집이 가장 많이 출판되는 오늘 우리가 있게 한 것이란 생각입니다.

양분된다는 게 꼭 나쁜 게 아닐지도 모릅니다. 서로 견제하므로 발전할 수 있으며 이상을 달리하는 묘미도 있을 수 있겠지요. 우리문단이 ‘문학과 지성’과 ‘창작과 비평’이란 두 축으로 발전해 오면서 ‘문학과 지성’이 서정성과 지성을 추구하는 순수문학을 추구하였다면, ‘창작과 비평은’ 문학으로 할 수 있는 역사의식을 실천적으로 보여주면서 이제 문학의 합수머리쯤에서 교류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다시 협회란 큰 틀에서 보면, ‘한국문인협회’와 ‘민족작가협회’로 보아도 그다지 틀리진 않으리란 생각입니다.

“아직 동트지 않은 뒷골목의 어딘가 / 발자국 소리 호르락 소리 문 두드리는 소리 /외마디 길고 긴 누군가의 비명소리/ 타는 목마름으로.” <김지하>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너는/누구에게 한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안도현>

“징이 울린다. 막이 내렸다./ 오동나무에 전등이 매어 달린 가설무대/ 구경꾼이 돌아가고 난 텅 빈 운동장/ 우리는 분이 얼룩진 얼굴로/ 학교 앞 소줏집에 몰려 술을 마신다.” <신경림>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며 피었나니 /흔들리면서 줄기를 곧게 세웠나니” <도종환>

이즈음 정치사에 새롭게 이름을 올린 시인들 작품입니다. 민주주의와 자유를 성찰하게 해 준 시인이며, 서럽고 애뜻한 농촌 정서를 기초로 하여 민중의 공감대를 이루어 낸 시인이며, 일상의 소소한 물건들을 통해 존재와 삶의 바닥이 따스함을 가르쳐 준 시인이며, 사랑의 여림과 현실참여의 강인함을 함께 보여준 시인입니다.

지금의 정치가 진정성을 가진 시와 시인을 동일시함으로 위로 받고픈 대중을 끌어들여서 자신들 편으로 만들려는 것이 눈에 보입니다. “은백양의 숲은 깊고 아름다웠지만/그곳에서는 나뭇잎조차 무기로 사용되었다.” <기형도, 대학시절> 짧은 소견인지 모르지만, 시와 정치가 안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것은 순결함만으론 정치를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곳 정치권에서는 나뭇잎조차 무기로 사용되는 것인데 시인들이 정치적 도구로 사용되고 망가지고 버려지는, 정치가 시인을 끝내 죽이고 말 것이란 생각에 마음이 아픕니다.

시를 쓰는 시인의 한 사람으로 시와 시인이란 천의무봉(天衣無縫)이란 순결한 옥토로 남겨야 할 신성지역인데 말입니다. 플라톤은 『국가』에서 조건이 변해도 변하지 않는 것을 이데아라고 했으며, 연민, 두려움을 부추겨 이성적인 생활을 방해하는 것이 시인이라며 시인은 <이상국가>에 발을 들일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아이러니 하게도 역사적으로 위대한 사회는 위대한 시인을 탄생시켰습니다. 르네상스시대에 보카치오가, 엘리자베스시대에 세익스피어가, 프랑스혁명 때에 루소가 탄생했습니다. 세계문학사에서 위대한 한국인이 탄생하리란 기대를 가져볼까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