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 ~ 청도 해저터널
당진 ~ 청도 해저터널
  • 안병권 부국장<당진>
  • 승인 2011.09.25 2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1802년 나폴레옹이 도버해협에 해저터널을 계획한 이래, 실제 영국과 프랑스 간에 터널이 뚫리기까지는 200여년의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이 과정에는 영국·프랑스 간 국민감정과 안보, 기술상의 문제가 장벽으로 작용했다. 근래 일본, 중국, 러시아 등이 대형 해저터널 계획을 내놓는 등 준비에 한창이다.

국내에서는 2010년 12월 부산과 거제를 잇는 거가대교 중 3.7km 구간인 가덕해저터널이 개통됐다. 이를 계기로 해저터널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자 국토해양부는 지난해부터 한·중 해저터널 등의 기술·경제적 검토에 들어갔다. 지자체를 중심으로 해저터널에 대한 연구가 진행돼 이에 대한 기초적 수준의 조사에 나선 것이다.

경제개발연구원도 한·중 해저터널의 경우 중국 산동성 웨이하이(위해)와 인천, 화성, 당진·평택, 황해 옹진 등 한 곳을 잇는 방안을 비용을 포함해 논의하기도 했다. 해저터널에 대한 설왕설래가 이어지자 국토해양부는 올해초 해저터널에 대한 검토 결과 ‘경제성이 없다’고 발표했다. 이면에는 수백조원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비용과 공사에 따른 고도의 기술력 등이 난제로 작용한 때문이다. 국토부의 부정적 시각에도 불구하고 대선 후보와 광역지자체를 중심으로 공약으로 내세우는 등 관심은 여전하다.

내년 1월 시로 승격되는 당진군이 기초단체로는 처음으로 한·중 해저터널에 대한 입장을 밝혀 주목된다. 이철환 당진군수는 지난 17일 신청사 개청식에서 “당진항이 국내의 3대 무역항이자, 동북아 국제 무역의 거점항으로 부상했다”며 “내년부터 중국 교역의 관문이었던 역사적 경험과 지리적 이점을 토대로 정부와 긴밀히 협의, 당진에서 중국 청도를 잇는 해저터널 사업의 구체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천명했다.

당진(唐津)은 ‘당나라를 오가던 큰 나루터’라는 명성에 걸맞게 최근 동북아 국제무역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국과 가장 안전한 해상 교통요지로서 옛 무역관문으로 영화를 누린 당진이 미래를 내다보고 해저터널의 메가폰을 먼저 잡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는 초대형 국책사업으로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게 결코 아니다. 구상을 밝히고 하나하나 준비해 나가자는 계산이다.

세계의 중심은 영국과 프랑스에서 미주를 거쳐 동북아 한·중·일 3국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한국을 주목하는 데 전 세계가 공감하고 있다. 종교적 기반이 탄탄하고, 국민의 도덕심이 살아 있으며,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크고 작은 국민운동을 성공시킨 무한한 잠재력이 작용한 때문이다. 당진이 세계에서 주시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는 자부심을 갖고 도약하기 위한 날갯짓을 힘차게 시작했다.

사통팔달 육상, 해상에 이어 해저교통의 첫 단추를 당진에서 꿰어야 한다는 설득력이 힘을 얻고 있다. 장기적으로 동북아에서 한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해저터널이 필요하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개통된 해저터널에 대한 효용성은 유로스타 등에서 이미 입증됐다. 정부의 구상은 앞으로 30~40년 이후에나 해저터널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금 당장이 아닌 차기, 차차기 정부부터 이에 대한 밑그림을 일관되게 준비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부는 지자체의 의견을 청취해 건설에 따른 정보 제공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그래야만 논의가 진전되기 때문이다. 국가의 백년대계, 그 이후의 초석을 다지기 위한 당진군의 혜안이 빛을 보게 되는 그날이 멀지 않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