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도, 국민도 잊고 있는 6·25의 상흔
국가도, 국민도 잊고 있는 6·25의 상흔
  • 정태일 <충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승인 2011.06.21 1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정태일 <충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우리에게는 기억하고 싶지 않는 일들이 참으로 많다. 우리 역사는 수많은 외침으로 국민들이 수난을 당한 치욕적인 역사에서부터 민족상잔의 비극이라 할 수 있는 6·25전쟁까지 너무나도 부침이 많았다. 작년에는 기억하고 싶지 않지만 교훈으로 삼고자 6·25전쟁 60주년을 맞이해 다양한 큰 행사들이 있었다.

우리는 6·25만 되면 '아! 어찌 잊으랴. 그날을' 하면서 그날의 기억을 생생하게 떠올리곤 한다. 6·25전쟁은 우리 민족사에서 가장 참혹한 전쟁이었다. 6·25전쟁으로 인해 400만여명의 인명 피해와 1,000만여명의 이산가족, 수많은 상이군인과 전쟁미망인, 전쟁고아들이 생겨났으며, 국토의 80% 이상이 황폐화 되었다.

한강의 기적으로 저개발 국가들이 모델로 삼을 정도로 잘사는 나라가 된 지금도 한국 사회에는 6·25전쟁의 상처는 치유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전쟁으로 인해 가족을 잃은 사람들은 6월이 되면 북한에 대해 불태우고 있다. 헤어진 가족을 찾아 주는 이산가족찾기 방송은 세계적인 톱뉴스가 됐다. 많은 전쟁고아를 외국으로 입양시켜 한국을 세계 제일의 고아수출국으로 만들었다.

우리는 지금도 분단과 6·25전쟁으로 인해 많은 일들을 겪고 있다. 작년에는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폭격으로 인하여 우리의 젊은 병사들이 안타깝게 희생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천안함 폭침을 두고 한국 사회에서 천안함 폭침에 대한 조작설이 유포되어 국론이 분열되는 상황에 직면하였고, 연평도 폭격에 대해서는 북한의 경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군사훈련을 지속한 이유가 무엇이냐 하는 등 논란이 제기되었다.

분명한 것은 당시 북한의 도발로 인해 우리 군인과 민간인이 희생되었다는 사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국민들은 정부의 공식적인 발표에 신뢰보다는 의구심을 보였다. 설사 정부의 공식 발표가 국민들의 신뢰를 얻는 데 다소 부족함이 있다 하더라도 남북한이 군사적인 대치상황에 있는 환경에는 쉽게 납득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제2의 민족상잔의 비극을 막기 위해 정부가 국민과 함께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해 고민을 해야 한다. 먼저 우리는 6·25전쟁에 대한 명확한 용어를 정립해야 한다. 우리 사회는 언제부터인가 6·25전쟁을 한국전쟁으로 부르고 있다.

북한의 남침에 대한 국제법적 전쟁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전쟁발발에 대한 책임이 모호해질 수 있는 '한국전쟁'이 아닌 '6·25전쟁'으로 통일할 필요성이 있다. 다음으로 6·25전쟁을 바라보는 시야를 조정하여야 한다.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젊은이들이 6·25전쟁을 단순히 과거 하나의 사건으로만 인식해 국가를 위해 자신을 희생한 사람들의 가치를 망각하게 해서는 안 된다.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하여 우리가 6·25전쟁을 통해 치른 희생이 얼마나 값진 것인지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를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가를 위해 지도층의 솔선수범이 요청된다. 우리 사회에서 지도층은 병역면제 등으로 국민들로부터 질시와 질책을 받는 대상에서 벗어나 국가를 위해 자기희생을 하는 대상으로 거듭나야 한다.

사실 국가와 국민들의 뇌리로부터 서서히 망각되고 있는 6·25전쟁이지만 우리는 이를 통해 북한으로부터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한 많은 참전용사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국가를 지키는 것이 얼마나 가치 있는 일인지에 대한 역사적 교훈을 얻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