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땅의 원앙들이 이상해지고 있다
이 땅의 원앙들이 이상해지고 있다
  • 충청타임즈
  • 승인 2009.06.15 21: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성식기자의 생태풍자
김성식 <생태전문기자>
   옛날 중국에는 원(鴛)이란 새와 앙(鴦)이란 새가 있었다. 원은 수컷 원앙을, 앙은 암컷 원앙을 일컫지만 당시 사람들은 두 새가 별개의 종인 줄 알았다. 깃털 모습이 워낙 달라서다. 한데 훗날 알고 보니 같은 종이었다. 해서 둘을 합쳐 부르게 된 것이 '원앙'이다.

중국 진나라 때 최표가 지은 고금주엔 '원앙은 자웅이 결코 떨어지지 않는 물새로, 그중 한 마리를 잡으면 나머지 한 마리는 몹시 애태우다 죽고 만다'고 설명돼 있다. 송나라 때 한빙부부(韓憑夫婦) 고사에서 유래된 원앙지계(鴛鴦之契)는 원앙처럼 언제나 함께 다니고 떨어지지 않는 부부의 정을 뜻한다.

우리 선조들도 원앙을 금실의 상징으로 여겼다. 혼례 때 원앙을 선물하거나 원앙이 그려진 이불(원앙금)과 베개(원앙침)를 혼수감으로 마련해 주고 또 행여나 부부가 토라지면 원앙 고기를 먹게 함으로써 금실을 되찾길 바랐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 인식에 쐐기를 박는 주장이 최근 일부 학자들로부터 제기되고 있다. 그 주장인 즉, 원앙들은 해마다 월동지서 자기짝을 골라 '한 해 부부'가 되는데, 그것도 암컷이 여러 마리 수컷 중 하나를 골라 짝을 삼는 changing partner를 일삼는다는 것이다. 일 년 단위의 바람둥이란 뜻이다. 옛 사람들이 들으면 놀라 자빠질 얘기다. 더군다나 신혼부부에게 원앙처럼 잘 살라고 덕담한 사람들은 되레 험한 악담을 한 셈이니 개망신이다.

하지만 그런 주장에 반기를 드는 사람도 있다. 보은군에서 30년 가까이 원앙의 생태를 연구하며 직접 수천 마리를 길러온 김중구씨에 의하면 원앙은 일편단심 한 마리만 사랑하는 지독한 사랑새란다.

몸소 길러보지 않고 관찰해 보지 않았으면 말을 말란다. 다만 집단 사육시 간혹 수컷이 죽어 홀로 남게 된 과부원앙은 다른 수컷들 극성에 얼마 안가 죽고 만단다. 한마디로 가만 놔두질 않는다고 한다. 균형이 깨진 사랑의 비극이다.

원앙은 때론 이해가 안 가는 행태를 보인다. 베일이 많다는 얘기다. 그중 하나가 동종간 알을 맡기는 탁란(托卵) 여부다. 필자는 이를 강력히 주장한다. 증거가 있다. 원앙은 한 배에 9~12개의 알을 낳는다. 하지만 실제로 야생의 원앙 둥지를 보면 그보다 훨씬 많은 알이 들어있다. 보통 30개가 넘는다. 많을 땐 40개 이상 발견된 둥지도 있다.

왜 그럴까. 한 배에 9~12개씩 낳는다는 새가 왜 그렇게 많은 알을 갖고 있을까. 답은 엉뚱한 데 있다. 알 주인이 여럿이란 얘기다. 알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은 그를 입증한다. 둥지 주인은 한 쌍인데 알 주인이 여럿이라면 뻔하다. 누군가가 둥지 주인 몰래 알을 낳은 것이다. 다시 말해 동종간 탁란을 한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왜 탁란을 할까.

알 낳을 장소가 부족해서다. 인간의 엉뚱한 발상 때문에, 나무구멍이란 구멍은 외과수술이란 핑계로 죄다 막아놨으니 급한 김에 남의 둥지를 찾아 실례를 하게 된 것이다. 또 자연상태의 과부 암컷도 탁란하는 것으로 보인다. 부화되지 않는 무정란이 물증이다.

올핸 의문점이 하나 더 생겼다. 때이른 여름날씨가 찾아와 부화 시기가 빨라질 법도 한데 오히려 늦어지고 있다. 그것도 보름 이상 말이다. 원앙은 보통 모내기철을 전후해 알을 까는데 올핸 모내기철이 한참 지났어도 아직 알 품는 둥지가 태반이다. 변덕스러운 날씨 탓에 생태시계가 고장 난 듯하다. 사육장에선 부화율과 산란율도 떨어졌다. 보은의 김씨는 "산란기 때 30도를 넘는 이상기온이 찾아온 게 원인"이라고 말한다.

이래저래 이 땅의 원앙들이 시련의 시대를 맞고 있다. "케~켓" 원앙 소리가 슬프게 들리는 이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