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재
AI 인재
  • 김금란 기자
  • 승인 2023.11.22 17: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김금란 부국장
김금란 부국장

 

기술만 있으면 먹고살 걱정을 하지 말라고 했다. 정년도 없으니 노후 보장에 대해 불안할 필요도 없을 줄 알았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 만연한 보이지 않는 편견과 학벌이라는 벽 앞에 기술자들은 무너졌다. 기술자 없는 기술강국의 허울은 결국 글로벌 인재 전쟁에서 빈국(貧國)으로 전락했다.

최근 한국경제인협회가 박동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에 의뢰한 `한국·미국·중국 인공지능 인재확보 전략 및 시사점'보고서를 보면 글로벌 AI인재 강국인 미국과 중국의 인재양성 및 영입 전략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공지능 전문 연구기관인 `엘리먼트 AI'가 발표한 `2020 글로벌 AI 인재 보고'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AI 분야 전문 인재 수는 47만7956명이다. 이 가운데 미국의 인재 수는 18만8300명(39.1%)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인도 7만6213명(15.9%), 영국 3만5401명(7.4%), 중국 2만2191명(4.6%)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2551명(0.5%)으로 조사 대상 30개국 가운데 22위 불과했다.

AI 인재 비율이 높은 미국의 경우 제도적으로 학위를 마친 유학생이 최대 36개월간 임시 취업할 수 있는 체류자격을 주는 프로그램을 운영, AI 박사 학위를 받은 학생의 82~92%가 졸업 후 미국에서 일하는 구조를 구축했다.

또한 초·중·고에서 AI 기초교육을 확대했고 2021년엔 `모두를 위한 컴퓨터 과학법'을 제정했다.

중국 역시 2001년부터 초·중·고교에서 정보기술 과목을 필수로 설정했고 2009년 천인(千人)계획을 수립해 세계적 인재 확보에 나서고 있다.

또한 AI+X(전공 및 산업분야) 융복합 교육을 실시하는 대학에는 재정지원을 통해 AI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박동 연구위원은 “AI 경쟁력의 핵심은 곧 인재인데 우리나라의 글로벌 AI 전문 인재 보유비중은 0.5%에 불과하다”며 “초중고교 AI 기초교육 강화와 글로벌 인재 영입을 위한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3월 `제3차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에서 2021년 기준 세계 6위인 인공지능 국가 순위를 2027년까지 3위권 내로 끌어올리겠다고 발표했다. 교육부 역시 2021년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자 유망산업 선도인재, 주력산업 핵심인재 등 `사람 투자 10대 과제'를 추진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특히 기술경쟁이 심화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해 신산업 분야 빅3(미래차, 바이오 헬스, 시스템 반도체)와 인공지능(AI) 분야 인재를 2025년까지 7만명 이상 양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이를 위해 대학·학과 간 장벽을 없앤 개방적 교육과정, 프로젝트 학기제, 기업·기관 등이 제시한 과제를 학생·연구자·창업자 등이 해결하는 한국형 캐글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현실에선 어떨까?

전 세계가 AI 인재 전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은 의대 진학에 사활을 건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의대 진학반이 성횡하고 부모들조차 자녀의 의대 진학을 위해 노후까지 포기한다.

오랜만에 만난 기업 대표가 내게 물었다. “일본에서 수두룩하게 나오는 노벨상 수상자가 우리나라에서 왜 안 나오는 줄 아느냐?”고. 그는 “우수한 인재가 일본은 이공계를 선택하지만 우리나라는 재수, 삼수를 해서라도 의대를 가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사회조사'결과 13~19살 청소년이 직업을 고를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 1위는`수입'(35.7%)이었다. 10년 전인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청소년의 직업 선택 기준 1위는`적성과 흥미'였던 것과 대조적이다.

팍팍한 삶 앞에 꿈은 사치인가 보다. 청소년들조차 좋아하는 일보다는 돈을 좇는 현실이 씁쓸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