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소멸 위기' 국립공원 권역 투자 시급
`지역소멸 위기' 국립공원 권역 투자 시급
  • 엄경철 기자
  • 승인 2023.04.09 19: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소멸 해법 국립공원에서 찾는다
충북 속리산·월악산·소백산 1970년부터 순차 지정
반세기간 규제·개발 제한 … 인구 감소·고령화·낙후
천혜 자연자원·문화유산 활용 지역개발·지원 절실
속리산 문장대와 천왕봉 /사진=뉴시스
속리산 문장대와 천왕봉 /사진=뉴시스

 

충북의 소멸위기지역 회생을 위해 3개 국립공원을 활용한 대규모 투자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설악산국립공원의 케이블카 설치 결정에 따라 속리산과 소백산의 케이블카 설치 재추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충북은 속리산, 월악산, 소백산 3곳이 1970년부터 순차적으로 국립공원으로 지정 보전되고 있다.

국립공원 지정이후 반세기 동안 공원내 자연자원과 문화유산이 잘 보존됐지만 국립공원 권역의 지역은 규제와 개발 제한으로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국립공원 지정 53년째인 속리산국립공원이 있는 보은군과 괴산군은 소멸위기의 대표적인 지역이다. 인구감소와 고령화, 낙후성을 극복하기 위해 각종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큰 성과가 없다.

특히 속리산국립공원 상가지구 등은 공원구역 해제에도 불구하고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

속리산면 상가지역은 2010년 국립공원구역에서 해제되면서 개발에 따른 관광경기 활성화 기대감이 있었다. 하지만 국립공원 해제후 상업지구로 변경되면서 건폐율이 크게 낮아졌다.

속리산 상가지역의 한 주민은 “상가지역 땅은 법주사 소유로 상인들은 남의 땅에 건물을 짓고 영업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건폐율까지 낮아지자 국립공원 해제에도 불구 투자에 적극 나설 수 없었다”며 “공원에서 해제되면서 달라질 것이라는 기대는 실망감으로 변해 투자의지가 꺾였다”고 토로했다.

조만간 국립공원 입장료가 폐지되는데 따른 기대감이 있지만 한때 200만명이 넘던 관광수요 회복을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 등의 특단의 조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월악산국립공원과 소백산국립공원은 여행소비자들에 맞춘 트렌드의 콘텐츠, 인프라가 부족하다.

다만 야영장, 오토캠핑장, 휴양림 등 충북도내 국립공원들이 여행트렌드에 맞춘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국립공원 활용 모델로 자리잡을지 관심사다.

소멸위기지역 회생을 위한 도내 국립공원의 케이블카 설치 가능성도 나온다.

최근 설악산국립공원 오색 케이블카의 조건부 허가를 시작으로 국립공원 관리에 대한 환경부의 정책 변화 가능성이 감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산 등 국립공원 지역들의 `지역소멸' 극복을 위한 케이블카 설치 요구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를 지역 회생의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따라 추진이 중단됐던 속리산·소백산국립공원의 케이블카 설치 재추진 가능성이 주목된다.

현재 속리산과 소백산은 경북에서 케이블카 설치가 추진 중이다. 충북도와 보은군은 2016년 연구용역을 발주하는 등 속리산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했으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법주사 등재가 추진되면서 중단됐다. 이 무렵 단양군도 소백산국립공원에 설치를 추진했다.

지역주민들은 “국립공원이 보유한 천혜의 자연자원과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개발에 성공한다면 지역소멸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며 “국립공원 보전을 위해 희생한 지역의 소멸을 막기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과감한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엄경철 선임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