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2명·대전 1명·세종 0명 … 충북은 최종결과 안나와

교육 당국의 학교 급식실 노동자 폐암 건강진단 공식 중간 결과가 처음 나왔다. 2만4000여명 검진 결과, 139명이 폐암에 확진됐거나 폐암이 의심된다는 진단을 받았다.
교육부는 지난 2월 28일 기준 14개 시도교육청이 마친 급식종사자 폐암 건강검진 결과를 공개했다.
대상자 2만5480명 중 2만4065명(94.4%)이 검진을 받았고, 이 중 폐암 의심 94명(0.39%), 매우 의심 45명(0.19%) 등 총 139명이 의심 소견을 받았다.
교육 당국이 의심 소견자 139명을 대상으로 추가 검진을 실시한 결과 31명이 폐암 확진을 받았다. 전체 검진자 2만4065명 대비 0.13%에 해당한다.
폐암 확진자는 부산이 6명으로 최다였고 경남이 4명으로 뒤이었다. 인천·광주·경북 각 3명, 울산·강원·충남·전남 각 2명, 대구·대전·전북·제주 각 1명이다. 세종은 폐암 의심자 2명 중 확진자가 없었다.
충북과 서울·경기 3개 지역의 최종 검진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검진자 6239명(25.93%)은 의심소견이 아닌 양성결절, 534명(2.22%)은 경계선 결절 소견을 받았다.
이번 검진은 고용노동부(고용부)가 2021년 2월 학교 급식노동자의 폐암을 산업재해로 처음 승인하고, 같은 해 12월 건강검진 실시기준을 마련하며 지난해부터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실시했다.
검진에 참여한 급식 노동자의 평균 연령은 54.9세, 평균 종사 기간은 14.3년이다. 이번 검진 결과 폐암 확진자(31명)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폐암 산재를 신청한 노동자(29명)를 합하면 60명이다.
2019년 기준 국가암등록통계에서 45~64세 여성 전체인구 대비 폐암 5년 유병률은 122.3이다. 5년 유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이전 5년 동안 암을 진단받은 환자 중 생존해 있는 암환자의 수를 말한다.
이번 검진 결과와 2018~2022년 폐암 산재 신청자를 합해 급식 노동자의 폐암 5년 유병률을 계산하면 135.1로, 유사연령 대비 1.1배 더 높은 수치다.
당국은 암발생이 연령대별 비교가 필요하나 급식종사자 검진은 이런 구분이 되어 있지 않는 등 보다 엄밀한 유병률 분석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교육부와 고용부 등 관계 당국은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은 서울·경기·충북 3개 지역의 최종 검진결과를 종합해 연구용역을 추진, 학교 급식노동자의 폐암 유병률 상관관계를 살필 방침이다. 검진을 다 끝내지 못한 시도교육청 3곳은 이르면 내달, 늦어도 5월까지 마칠 계획이다.
/김금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