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생명단지 이대론 않된다 <하>
오송생명단지 이대론 않된다 <하>
  • 안정환 기자
  • 승인 2009.02.16 2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기 활성화 방안은
복지부·충북도 관련기관 적극 대책 필요

지원·연구시설·정주여건 조성 등 요건 충족

오송생명과학단지가 한국 바이오산업의 메카, 동북아의 중심 세계 속의 바이오산업단지로 우뚝서기 위해서는 생산시설과 연구·지원시설, 국책기관 이전, 쾌적한 정주여건 조성 등의 모든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지난해 10월 준공된 오송단지는 현재 국책기관 이전과 정주여건 조성에 있어서는 순조로운 진행과정을 보이고 있지만 정작 산업단지 개발의 주목적이라 할 수 있는 생산시설인 공장 건립은 지연되는 불완전한 모습이다.

미국발 금융위기에 이어 경기불황이 지속되면서 입주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보건복지가족부, 충북도 등 관련기관의 대책 부재도 오송단지 활성화의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96%의 공장용지 분양률과 54개 기업 입주라는 오송단지의 외형인 모습은 분명 성공적이다.

그러나 오송단지 준공 이전인 지난해 1월부터 토지사용이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54개 기업 가운데 생산시설인 공장을 착공한 기업이 씨제이제일제당, 신풍제약, 파이온텍만 등 3곳에 불과하고, 오는 5월 착공을 계획하고 있는 LG생명과학을 제외한 나머지 50개 기업의 착공시기가 베일에 쌓여 있다는 것은 더 큰 문제다.

사기업의 사업추진 시기를 행정기관에서 강요할 수 없다는 측면도 있지만 토지사용 가능시점 또는 입주계약일로부터 3년 이내에 공장을 착공하지 않을 경우 공장설립 또는 입주계약이 취소된다는 점을 맹신한 측면도 크다. 오송단지 토지사용이 가능했던 지난해 1월부터 계산하면 2010년까지 공장을 착공하면 되는 셈으로, 제약회사의 경우 cGMP(의약품제조품질관리기준) 요건을 충족하는 공장을 건립하기 위해서는 2~3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2013년이 되어서야 생산시설을 가동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러나 이때가 되면 공동주택 입주와 5대 국책기관 이전이 이뤄진 지 이미 2~3년여가 지난 시점이 된다.

더 큰 문제는 오송단지 생산용지의 18%(30만2000㎡)에 달하는 외국인투자지역의 공급계약이 없다는 점이다.

충북도는 투자협약을 체결한 티슈진과 아반티 나노사이언스, VGX, 테라식코리아 등 4개 업체가 입주할 경우 오송단지 외투지역의 84%인 25만4000여㎡가 분양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그 시기를 가늠할 수 없는 상태다. 지난 6일 열린 오송단지 관련 업무보고회에서도 보건복지가족부와 충북도는 특목고 설치와 문화체육시설 건립 등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T/F팀 구성, 연구지원시설 건립 및 유치, 오송단지관리센터 건립 등의 방안은 논의했지만 정작 기업들의 생산시설 조기 착공과 외국기업 투자유치 등 단지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

지역 경제계 한 인사는 "정주기능이 포함된 복합단지의 경우 생산시설 준공과 공동주택 입주 시점이 일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며 "오송단지의 경우 공동주택과 국책기관 이전이 2010년께 이뤄지는 반면 생산시설은 2~3년가량 늦어질 가능성이 높아 자칫 반쪽짜리 산업단지로 전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생산시설 착공 지연의 가장 큰 원인은 자금사정이지만 관련기관의 대책도 부족했다"며 "입주기업들의 생산시설 조기 착공을 위해 보건복지가족부와 충북도 등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끝>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