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물가 고공행진 서민은 힘들다
먹거리 물가 고공행진 서민은 힘들다
  • 이형모 기자
  • 승인 2024.04.25 1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말논단
이형모 선임기자
이형모 선임기자

 

먹거리 물가에 다시 비상이 걸렸다. 4·10 총선이 끝나자마자 각종 식품과 생필품값이 오르고 있다. 기업들이 그동안 정부 눈치를 보다 기다렸다는 듯이 일제히 가격 인상에 나서는 모양새다. 한국 경제의 `단골 뇌관'인 중동 리스크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는 지난 15일 9개 제품 가격을 일제히 1900원씩 올렸다.

쿠팡은 지난 13일부터 유료 멤버십 월 회비를 7890원으로 무려 58.1%나 인상했다. 편의점이나 대형마트 등에서 판매되는 제품 가격도 줄줄이 인상 대기 중이다.

주요 선진국이나 경제 구조가 비슷한 대만과 비교해 우리나라의 과일·채소 가격이 올해 들어 가장 크게 뛰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투자은행(IB) 노무라증권에 따르면 G7(미국·일본·영국·캐나다·독일·프랑스·이탈리아)과 전체 유로 지역, 대만과 한국의 올해 1~3월 월평균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3.0%로 영국(3.5%)·미국(3.3%)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특히 최근 국내 체감 물가에 가장 큰 충격을 준 과일과 채소 가격 오름세는 월등한 1위였다.

우리나라 과일류의 상승률은 1~3월 월평균 36.9%로, 2위 대만(14.7%)의 거의 2.5 배에 이르렀다. 채소류 상승률도 한국(10.7%)이 이탈리아(9.3%) 영국(7.3%) 등을 제치고 가장 높았다.

우리나라의 에너지류 인플레이션도 주요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더 불안한 상황이었다.

에너지류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한국이 1~3월 월평균 1.1%로 프랑스(2.7%)에 이어 2위였다.

특히 2월 국제 유가 상승분이 본격적으로 휘발유·경유 등에 반영되기 시작한 3월(2.9%) 상승률은 10개국 중 가장 높았다.

마트에서 물건을 만지작거리다가 가격표를 보고 발길을 돌리는 광경이 일상이 된 지는 이미 오래다.

실제로 주요 먹거리 가운데 가격이 뛰지 않은 제품을 찾기가 `하늘의 별 따기'다.

사과, 배 등 과일은 물론이고 우유, 계란, 육류에서 가공식품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식재료 가격이 하루가 다르게 오르고 있다.

지난 2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6.95%로 OECD 평균(5.32%)을 웃돌았다.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가 OECD 평균을 넘어선 것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2021년 11월 이후 2년 3개월 만이다.

외식 물가는 더 말할 것도 없다. 이제는 가격의 앞자리를 바꿔 붙인 식당 메뉴판이 그리 새삼스럽지 않을 정도다.

지금의 고물가 상황이 더 좋아질 것으로 기대되는 요인을 찾기가 어렵다. 총선이 끝난 만큼 전기와 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여기다 어려운 가계를 더욱 옥죄어온 고금리 기조가 조기에 바뀔 가능성은 갈수록 작아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당초 미국이 6월에 인하를 시작해 올해 총 세 번 기준금리를 낮출 거로 봤으나 올해 9월에야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이란 예상이 우세해졌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3.1% 올랐다.

정부는 “3월에 연간 물가의 정점을 찍고 하반기로 갈수록 빠르게 안정화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지금의 물가 흐름은 정부의 기대와는 다른 양상이다.

고물가·고금리 장기화의 직격탄을 맞은 서민층은 허리띠를 졸라매게 된다.

서민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수 밖에 없다.

지자체로선 경제적 기반이 취약한 서민들의 고충을 덜어줄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해 나가는 데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