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방의 충북정치 이번엔 바뀔까
변방의 충북정치 이번엔 바뀔까
  • 엄경철 선임기자
  • 승인 2024.04.18 19:35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말논단
엄경철 선임기자
엄경철 선임기자

 

300석의 국회의석 수 가운데 8석에 불과한 충북은 스스로가 정치변방이라 한다.

의석수도 작지만 기질적으로도 중앙정치무대에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상실된 존재감이 초래한 정치변방론이다.

수적 열세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중앙정치를 쥐락펴락할 수 있는 정치 역량 발휘까지 기대하지 않는다.

지역 목소리를 제대로 내는 지역대표 역할이라도 할 수 있다면 더 바랄게 없다.

역대 국회의원 모두가 제 역할을 못한 것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지역대변인 역할이 미흡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자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지역국회의원들의 정치역량은 지역이익과 직결된다.

충북은 거대 양당을 이끄는 영호남, 수도권 등과 예산, 사업, 기관 등의 유치전쟁을 치르고 있다.

지역의 열악한 정치 환경속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물을 만들어내기도 했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많았다.

특히 정부가 충북의 몫으로 결정한 국책사업이 번복될 때마다 정치변방의 현실을 한탄해야 했다.

대표적인 것이 국립노화연구원의 오송 건립 무산이다.

보건복지부는 2007년 국립노화연구원 오송 건립 사업을 확정했다. 총 사업비 760억원, 연구인력은 200명 규모였다.

국립노화연구원 건립 사업은 노화에 대한 조사 연구, R&D 관리, 교육훈련, 대외협력 기능을 수행하는 국가연구기관 건립 국가프로젝트였다.

정부는 국립노화연구원 부지로 같은 해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내 국가비축토지 7000평을 확보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국립노화연구원은 지난 2012년 오송 착공을 앞두고 백지화됐다.

당시 부산과 광주가 지역국회의원을 앞세워 오송 건립이 확정된 국립노화연구원 유치 경쟁을 벌였다. 항노화산업을 지역먹거리산업으로 육성하고자 했던 두 지역의 타깃이 된 것이다.

예상치 못했던 연구원 유치 경쟁이 벌어지면서 관련법이 국회에 장기 계류됐고, 국립노화연구원 오송 건립은 백지회됐다.

정부의 정책이 하루아침에 뒤집히는 황당한 일은 이미 예고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립노화연구원 건립 사업을 다룬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충북 국회의원이 없었다.

당시 연구원을 타 지역에 빼길 수도 있다는 위기감에 충북도는 해당 상임위 소속 충남 국회의원에 협조를 구했으나 결과는 연구원 건립 사업 무기 연기였다.

충북은 1990년대부터 바이오산업 육성에 나섰다.

국내 최초로 바이오엑스포를 개최하면서 사업을 선점했다.

차세대를 위한 백년먹거리 육성이라는 거창한 메머드급 프로젝트를 구상한 충북이었다.

그런 충북의 정치권은 바이오산업을 다루는 상임위원회에 없었던 것이다.

보건복지위는 국회의원들에게 인기없는 상임위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바이오를 차세대 먹거리로 삼았던 충북의 국회의원 어느 누구도 상임위를 지키려 하지 않았다.

그 대가는 국립노화연구원 하나로 끝나지 않았다. 1조원 대 이상의 투자가 예상됐던 국립암센터 분원, 뇌연구원 등 충북에 필요한 바이오 핵심 인프라들이 타 지역에 빼앗기거나 신설 또는 이전이 무산됐다. 정치논리가 개입되면서 정치파워가 약한 충북이 불이익을 당한 것이다.

그런 쓰라린 경험에도 충북의 정치는 여전히 변하지 않고 있다. 국회의원에 당선되면 대접받고 힘있는 상임위만 쳐다본다.

수적으로 열세라고 변방이 아니다. 열세인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희생하고 뭉치고 도전하는 자세가 없었기에 정치변방이다.

22대 국회에 입성한 8명의 충북 국회의원들은 다르다는 소리를 듣고 싶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진수 2024-04-19 04:41:00
진짜 공감가는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