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U-City사업 도입 … 미래 도시모델 구축 잰걸음
2003년 U-City사업 도입 … 미래 도시모델 구축 잰걸음
  • 이재경 기자
  • 승인 2014.12.17 17: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마트시티를 가다 ① 우리나라 스마트시티 현황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 전경

미래 인류의 새로운 도시 모델인 스마트시티가 관심을 끌고 있다.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지구 온난화와 환경 오염, 자원 고갈 등 위기에 대응하고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스마트시티. 본지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으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진행중인 인천 송도 국제도시와 롤 모델로 알려진 미국 뉴욕과 캘리포니아주를 취재했다. 이들 도시가 추구하는 스마트시티의 현황과 충남의 현주소를 5회에 걸쳐 점검해본다.

▲ 인천경제자유구역 U-City 운영센터

# 국내 현황과 송도 국제도시, 서울시의 사례

똑똑한 도시를 일컫는 스마트시티는 인류의 생활에 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해 이를 기반으로 윤택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미래도시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첨단 ICT 기술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첨단도시다.

공상과학영화의 장면처럼 현관 앞에 서면 컴퓨터가 사람의 홍채 정보를 인식해 문을 자동으로 열어주고, 스스로 주인을 태우고 안전하게 운행하는 자동차와 도로 시스템, 농부가 드론을 띄워 광활한 농장에 농약을 뿌리고 빌딩에서 날씨에 관계없이 1년에 4모작 벼를 생산하는 기술. 그런 게 가능한 인프라를 갖춘 도시가 스마트시티다.

우리나라는 일찍부터 초고속 인터넷을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도시(U-City) 구축을 추진해왔다. 지난 2003년부터 수도권 신도시 건설 열풍이 불면서 송도·동탄·판교·천안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 시티 사업이 시작됐다.

국내에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가장 활기차게 진행중인 곳은 송도국제도시가 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이다.

정부는 이곳을 동북아 경제·물류 허브시티로 구축하기위해 2020년까지 U-시티 사업에 3541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최첨단 ICT 기술을 주거지, 비즈니스 공간, 공공기관, 산업단지 등에 접목시켜 스마트시티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송도국제도시가 지향하는 U-city는 도시 중심부에 위치한 컴팩스마트시티(인천도시계획관)를 찾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서울시 관계자가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현황을 취재기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인천자유경제구역에는 전체 도시의 교통과 방범, 방재 등 도시생활안전을 담당하는 U-city 운영센터가 있다. 이곳에는 인천경제자유구역 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받은 모든 정보가 모니터에 표시된다. 2013년 U-City사업이 완료된 청라지구에 CCTV, 환경오염 감지 센서, 시설물 상태 센서 등 800여 개의 센서가 설치됐으며,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시스템 자체적으로 경고 알람이 울린다. 자체 센서로부터 받은 정보와 기상청, 보건환경연구원 등 외부 기관의 정보를 연계해 △교통 △방범·방재 △환경 △시설물 관리 등의 정보를 주민들과 각 기관에 전달한다.

도시에서 발생하는 치안과 방범, 교통, 환경 등 복합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대응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U-city 운영센터 통제센터팀 박장균 담당자는 “유비쿼터스 기술과 국가표준 통함 플랫폼을 융합한 최초 사례로써 앞으로 U-city 구축사업의 표준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장소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도시이자 스마트한 도시가 목표”라고 말했다.

공공기관에서는 서울시가 국내에서 가장 선도적인 스마트시티 모델을 지향하고 있다. 전자공문서 공개, 엠보팅(Mobile Voting, 스마트폰 투표),모바일 앱을 통한 시정정보 제공, 비콘(Beacon)을 통한 전통시장 살리기, 공공청사내 100% 와이파이 설치 등의 스마트 시티 정책을 펴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중 엠보팅은 정부 부처에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선진적인 기법이다. 서울시는 시민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을 통해 수시로 시정 정책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하고 시민들의 여론을 수렴, 그 즉시 정책에 반영한다.

“무료 와이파이존을 늘렸으면 하는데 여러분 생각은 어떤지요?”, “시내버스 개선점은 무엇인가?” 등 수시로 질문을 던지면서 앱을 다운받은 1만여명의 시민들과 소통하고 여론을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도 준비중이다. 사용자의 모바일과 소통해 위치를 인식한 뒤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콘(Beacon)을 통해 전통시장 살리기, 구인·구직 및 걷기·트레킹 정보 제공 등에 나설 예정이다. 내년 초 시범으로 5곳의 전통시장에 비콘을 설치, 점포를 지나칠 때 할인, 쿠폰 등 정보제공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8500억원을 들여 2015년까지 공공청사 와이파이망 구축사업도 추진중이다. 내년엔 서울시 산하 모든 공공청사에서 무선인터넷(와이파이)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재경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