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형태로 탈바꿈하여 지방경제 신사업 기반 만들어야‘
‘친환경 형태로 탈바꿈하여 지방경제 신사업 기반 만들어야‘
  • 조규호 <서원대 경영학과 교수>
  • 승인 2013.10.15 20: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규호 교수의 지역경제 살리기
조규호 <서원대 경영학과 교수>

청주시의 녹색수도 전국대회는 우리 지역의 대표적인 친환경 추진 운동이다. 청주시가 앞장서서 에너지 절약 등 자원 소비를 줄이고 인간과 자연이 하나로서 생태적으로 보다 가깝게 자연 건강을 찾자는 노력이다.

지구와 인간이 보다 평화롭고 행복한 생활을 지속가능하게 추구해보자는 행사로 환영할 만하고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지구가 병이 들어도 너무 들었기 때문이다.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친환경으로 탈바꿈하여 지역의 새로운 사업 기반을 이루자’는 말의 의미는 이러한 친환경 운동을 생활의 정리정돈 차원에서 그치지 말고 그동안의 비인간적, 반자연적 방식의 개발, 무분별한 천연자원의 개발, 화석연료 및 석유화학 제품의 과도한 의존, 공장식 가축사육 등에서 벗어나 과감하게 친환경, 생태적인 의식주로의 전환을 전개하여 지역경제도 살리고 인류의 제3의 경제활동 전환기까지 맞이 해보자는 뜻이다.

친환경 형태로 바꾸면 새로운 사업이 만들어지고 지역경제가 활성화된다고? 어떻게 말인가? 살펴보기로 하자. 지역경제의 활성화란 지역소득 창출을 하되 정상적인 지역순환경제로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뜻하는 바, 예컨대, 요즘 초등학교 운동장에 많이 보이는 인조잔디(폴리에틸렌 등의 화학섬유질로 만들어짐)를 천연잔디로 바꾼다고 가정하면 이해하기 쉽다.

인조잔디는 반건강, 반자연적 석유화학재료로서 대량생산을 전제로 하여 공장 생산방식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많은 자본력을 필요로 하며, 실제의 재생산 수요는 천연잔디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따라서 인위적 재생산 수요증가를 강요한다. 이 과정에서 품질은 나빠지고 석유자원은 고갈, 산업쓰레기는 넘치고 환경은 위태로워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일자리는 위험하기 짝이 없는 거품 위에 신세일 뿐이다.

거품경제가 꺼지면 몽땅 스러지는 일자리일 뿐이다. 대신 천연잔디로 바꾼다면 우리는 친자연적이며 건강에 좋은 천연 수풀을 즐기는 것일 뿐만 아니라 일자리 차원에서도 수작업식 잔디 생산방식은 농약을 쓰지 않는 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재생산 차원과 보수유지용 노동력도 필요하여 지역에서는 바로 경제활성화로 연결되는 것이다.

등산로 보수작업도 마찬가지이다. 콘크리트로 만든 무늬만 목재인 거짓 목재가 보수작업 회피 목적으로 사용되곤 하는데 안타깝다. 정말 누구를 위한 것인가. 환경 파괴적인 물질은 천연재료보다 견고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어 좋겠지만 자연과 건강에 좋을 리 없고, 억지적인 산업의 지속유지(공장가동, 고용유지) 명제를 위해 과도소비, 불필요 소비를 부추길 뿐이다. 이는 결국 악순환적이고 반환경적 순환으로 이어지고 지구 생명의 단축과 인간경제사회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만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늦었지만 친환경 모드로 이제부터라도 생태적인 의식주 생활로서의 혁명적 전환으로 제3의 새로운 산업혁명을 이루어 나가야 한다는 당위성을 펼쳐야 하는 것이다. 1930년대에 의류 역사상 나일론이 탄생, 본격적 화학섬유 의류시대를 맞이했듯이 다시 업그레이드된 친환경적 재료로 의류 및 먹거리, 주거문화 문명을 만들자는 말이다. 먹거리도 대량생산(공장식)방식에서 벗어나 친환경적으로 지역형 가내수공업 방식을 도입하면 새로운 일자리는 조금은 촌스럽지만 안정성 측면에서 믿음을 주면서 많이 생겨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우리 지역주민, 사업자와 소비자는 각각 어떻게 친환경 운동을 전개하면 되는가? 우선 사업자들은 신사업 추진과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는 노력을 해야 하고 비용절감 차원에서 녹색운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비용 대비 고객만족 향상을 위한 경쟁시대에서 시대 흐름을 앞서야 함을 알고 있을 것이다. 소비자보다 늦으면 끝이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장기적으로 친환경 제품이 본인의 건강과 일자리에도 도움이 되고 지역경제에도 유리함을 알고 사업자들이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돈이 순환되어야 본인의 일자리도 는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지자체도 관급공사 발주시 중앙정부의 지침도 참고해야 하지만 너무 의존하지 말고 자체 정책방향으로, 다시 말해 친환경 소재와 친환경 방식을 우대하는 방향으로 지역경제를 살리는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