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신수도권시대 개막
충청권 신수도권시대 개막
  • 문종극 기자
  • 승인 2012.07.01 21: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문종극 <편집국장>

행정수도 세종특별자치시가 공식 출범했다.

17번째 광역자치단체로 일요일인 어제 법정 출범한데 이어 오늘 출범 기념식을 갖는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민주당 대선 후보 시절인 2002년 9월 '신행정수도 건설'을 공약한 이후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 신행정수도 후속사업인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결정, 세종시 수정 추진 및 무산 등 숫한 논란을 거친 뒤 꼭 10년여만에 드디어 출범했다.

이곳에는 오는 9월 국무총리실과 조세심판원을 시작으로 올 연말까지 기획재정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12개 정부부처와 소속기관이 입주한다.

이어 내년 말까지 보건복지부와 노동부, 보훈처, 교육과학기술부, 문화관광부, 지식경제부 등 18개 부처 및 소속기관이, 2014년 말까지는 법제처, 국민권익위원회, 국세청, 소방방재처 등 6개 부처 및 소속기관이 각각 이전한다.

2014년 말까지 1실·2위원회·9부2처3청 등 17개 정부부처와 20개 소속기관 등 37개 기관이 입주를 마친다.

공식적으로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이나 정부 중앙행정기관의 63%인 1실·2위원회·9부2처3청이 이곳에 입주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이전으로 봐도 된다.

국가균형발전의 아이콘이 된 세종시는 인구 2000만 수도권의 과밀화를 해소하는 처방이다.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인 지방을 살리자는 것이며, 모든 대한민국 국민이 함께 잘사는 나라를 만들자는 정치적 해법이요, 국가백년대계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정희 대통령때 북한의 기습침공에 대비하기 위해 수도 서울의 이전을 준비했다는 일명 '백지계획'의 연장선상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이를 다시 기획한 노무현 정권이 마감하고 이명박 정권이 들어서면서 수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국민적 합의 과정에서 전국을 논란의 도가니에 몰아 넣기도 했지만 더 컸던 것은 충청민들에게 돌이키기 어려운 상처를 주기도 했다.

세종시는 그동안의 이 같은 산고 만큼이나 지방분권의 시금석으로서의 상징성을 넘어 실제 그 위상과 역할이 자못 크리라는 전망이다.

이와함께 지난달 27일 주민투표로 확정된 청주와 청원의 통합 또한 충청권의 대변혁을 가져오는 일대 사건이다. 청주·청원 통합시의 경제력은 전국 8개도, 13개 대표 도시 중 4위가 된다는 것이 한국은행의 분석이고 보면 획기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다.

이렇게 보면 신행정수도인 세종시를 정점으로 주변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인 대전, 지금까지 대전에 있던 도청 등 32개 충남지역 기관이 올 연말 홍성·예산에 조성되는 내포시로 이전하는 충남, 첨복단지를 비롯한 바이오 도시 오송을 껴안는 청주·청원 통합시의 충북 등이 지정학적으로 맞닿아 있다.

이를 감안하면 이제 대한민국은 중부권시대요, 충청권이 신수도권시대를 맞은 것이다. 세종시가 행정수도라면 주변 대전, 충남·충북은 수도권이 되는 셈이다.

장차 세종시는 제2의 수도이자 대전, 충남·북 주변지역을 아우르는 거점도시로서의 위상을 갖게 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이를 근거로 보면 이제 충청권 신수도권시대임을 의심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정부가 세종시 육성에 전력을 다해야 한다.

진정한 수도권 과밀화 해소 및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열쇠가 세종시요, 충청권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그 첫발이 세종시의 공식적인 도시성격을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아닌 신행정수도로 변경하는 것이다.

그 숱한 논란속에서도 행정수도 세종시가 출범했듯이 결국 또 그렇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