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의무휴업 평가
대형마트 의무휴업 평가
  • 남경훈 기자
  • 승인 2012.06.19 22: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남경훈 취재1팀장(부국장)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의 '의무 휴업'을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전통시장은 시장대로 활성화가 안돼 의무휴업에 따른 효과가 없다는 분석부터 대형마트 내 일자리가 줄어들고 납품 업체들이 매출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도 있다.

또 대형마트에 익숙해진 시민들은 일요일 휴업이 너무 큰 불편을 주고 있다는 지적도 빼놓지 않고 있다. 여기에 대형마트들의 지난 5월 매출이 이 영향으로 감소폭이 더 확대됐다고 한다.

이런 부정적 여론들은 주로 중앙 언론들을 통해 양산되고 있다.

이 제도가 시작된지 겨우 한달이다. 빠른 곳은 두달째다. 불과 4번 쉬어보고 이런 판단을 하는 것 자체가 문제다.

처음 할인점이라는 이름으로 청주에 유통대기업이 문을 연 것은 지난 98년 이마트였다. 이후 청주는 물론 충주 제천 심지어 오창 등 신흥 주거지역까지 대형마트들이 진출해 있다.

당연히 지역 유통구조는 불과 10년 사이에 뒤바뀌게 됐다. 유통단계의 축소로 도·소매업에 의존하던 자영업자들이 설자리를 잃었다. 대형마트 뿐 아니라 기업형 슈퍼마켓, 편의점까지 사업 영역을 무한대로 확장하면서 대형 전통시장은 물론 동네 시장과 골목 상권까지 철저하게 파괴되고 있다.

그렇다고 지역경제에 이들 대형마트들이 공헌하는 것은 눈씻고도 찾을 수가 없다. 오죽했으면 청주시가 그동안 지역에 공헌한 내용을 제출해 달라고 하는데도 이를 미루고 있는 것인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심지어 연간 200~300만원에 불과한 상공회의소 회비 조차 내지 않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청주상공회의소의 경우 대형마트 중 농협충북유통과 롯데마트 청주점을 제외하고 회비를 내는 곳이 없었다.

이 뿐 아니라 자금의 역외유출도 부추긴다. 그동안 지역경제는 돈이 일정시간 지역에 머물면서 순환에 의해 움직여졌으나, 이들 대형점들은 본사 중심으로 자금이 집중되면서 돈의 순환에도 구멍이 생겼다.

지역 유통시장의 왜곡은 지방 경제의 자립도를 크게 떨어뜨린다는 문제점도 있다.

지역 내 전통시장이나 골목 상권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이나 농산품의 대부분은 지역 생산품이다. 하지만 전통시장 붕괴로 판로가 사라지면 유통업자나 생산자 모두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이 자리는 결국 유통 대기업이 대신하게 되고 유통 마진의 대부분은 서울로 흘러나갈 수밖에 없다.

실제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90%가 중도매인 등을 통해 서울로 올라간 뒤 다시 지역으로 내려온다. 이 과정에서 30%가 넘는 유통 마진이 고스란히 서울에 떨어진다고 한다.

유통 대기업의 역사가 한국보다 훨씬 빠른 미국과 유럽의 경우도 대형마트와 전통 상권의 충돌과 상생은 공존해 왔다.

스위스의 경우 주민들이 주인인 생활협동조합이 다국적 대형마트인 까르푸 불매 운동을 벌여 스위스 내 12개 까르푸 매장이 철수했다. 미국 LA는 지난 2004년부터 매장 면적 9300㎡(2800평) 이상 소매점을 개설하려먼 골목 상권에 부정적인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 특별 평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프랑스 내 일부 대형마트들은 일요일 자발적으로 전통 상권 활성화를 위해 문을 닫고 있다.

따뜻한 자본주의와 대·중소기업 협력, 동반성장이 시대적 화두다.

대형마트 의무휴무제에 대한 지금의 평가는 빨라도 너무 빠르다. 대형마트가 지역에 들어온지 14년째다. 의무휴무제도 적어도 14년뒤에나 평가받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