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광귀 쫓으려 대문 위에 걸어놓은 '체'
야광귀 쫓으려 대문 위에 걸어놓은 '체'
  • 연지민 기자
  • 승인 2012.01.20 06: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북민속문화의 해' 다시보는 설 풍속

설날은 우리의 전통명절로 온가족이 새로운 한해를 시작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부모는 고향을 떠나 멀리서 직장생활을 하는 자녀들의 세배를 받고 덕담을 나누며 가족의 건강과 무사를 기원한다.
우리나라 전통민속문화 속에 전해지는 설의 풍속과 국가기록원에서 공개한 기록으로 보는 설날이야기를 소개한다.


△‘충북민속문화의 해’에 다시보는 설 풍속
 
 -신발 귀신인 야광귀를 쫓기위해 체를 문에 걸어

설날은 새롭게 한 해를 출발한다는 점에서 '삼가는 날', '신일'이라 하여 정갈한 마음가짐으로 새해 첫날을 맞이했다.


오늘날 설의 의미는 많이 사라졌어도 현대인의 마음 속에는 기원과 소망, 풍요의 의미는 여전히 유효하다.

임진년 새해는 '충북민속문화의 해'이다. 오랜 시간의 궤적에서 사람들의 생활과 삶을 근간으로 한 충북의 뿌리찾기가 전개된다.  이에 민속문화와 관련된 설을 통해 민속명절의 의미를 되짚어본다.

설날의 세시풍속으로는 차례, 세배, 설빔, 덕담, 문안비, 설그림, 복조리 걸기, 야광귀 쫓기, 청참, 윷놀이, 널뛰기, 머리카락 태우기 등 다양한 풍습이 전해진다.

정월 초하룻날 아침에는 남녀노소 구분 없이 모두 일찍 일어나 세수하고 새옷을 갈아입고 차례를 지낸다. 차례를 마친 뒤에는 어르신들께 절하고 새해 인사를 올리며, 가족끼리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절하며 덕담과 세뱃돈으로 한 해를 시작한다.

재미있는 설 풍속도로는 야광귀쫓기가 있다. 설날 밤에 야광(夜光)이라는 귀신이 봉당의 신을 신어 보고 자기 발에 맞으면 신고 간다고 한다.

이때 신을 잃어버리면 사람은 그해 운수가 나쁘다고 해 신발감추기 전쟁이 펼쳐졌다. 설날 밤이면 아이들이나 어른들이나 신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 방안에 들여놓는다.

또 이날 밤에는 모두 불을 끄고 일찍 자야만이 무시무시한 야광귀를 만나지 않는다고 믿었다. 야광귀를 막기 위해선 특별 처방으로 아버지는 문 위에다 체를 걸어 두었다.

체를 본 야광귀가 체의 구멍을 세어 보다가 잘못 세어 다시 세고 또 세고 하다가 신을 신어 보는 것을 잊어버리고 새벽닭이 울면 물러가게 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설그림(歲畵)도 잊혀져 가는 설날 풍속이다. 조선조 말까지 설날 도화서(圖形?)에서는 수성(壽星) 선녀와 직일신장(直日神將)을 그려서 임금에게 드리고, 서로 선물로 주기도 하였는데 이를 설그림이라고 한다.
오래 살길 비는 의미로 설그림을 문설주나 문에 붙여두었다.

 

△기록으로 보는 설날 이야기


 
 국가기록원은 임진년 설을 맞아 기록으로 보는 설날이야기를 선정해 공개했다.  이 기록에 의하면 설날이 고유명절로 인정받게 된 것은 불과 20여년 밖에 되지 않는다. 1985년 음력 설날을 ‘민속의 날’로 지정하였고, 1989년 ‘민속의 날’을 ‘설날’로 명칭이 변경됨으로써, 설날은 민족의 대명절로 자리잡게 되었다.


 사진은 1960년대부터 최근까지 설날의 다양한 풍경을 보여준다. 설날 서울역·고속버스터미널 등에서 고향을 향하는 분주한 모습, 선물 보따리를 손에 쥐고 열차·버스를 기다리는 얼굴, 세배·널뛰기·윷놀이·연날리기·제기차기 등 고향의 설날 풍속과 설빔으로 가득찬 시장의 풍경과 세찬 준비에 바쁜 고향의 정겨운 장면도 눈에 띈다.(사진출처 국가기록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