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재 보존 정책 '낙제점'
무형문화재 보존 정책 '낙제점'
  • 연지민 기자
  • 승인 2011.02.09 21: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북 다른 지자체 보다 지정 수 떨어져
선정 기준 변경·적극적 발굴노력 절실

충북의 무형문화재 지정이 타도와 비교해 현저히 열악한 것으로 조사됐다.

무형문화재는 국가가 지정하는 중요무형문화재와 시·도가 지정하는 무형문화재로 구분해 지정하고 있다. 하지만 충북의 경우 중요무형문화재와 시·도 무형문화재 지정 수에서 모두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무형문화재정책에 적극성이 요구되고 있다.

무형문화재의 종류는 연극, 음악, 무용, 공예기술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을 선정한다.

중요무형문화재를 살펴보면 전국의 총 131개 중 충북은 택견과 금속활자장, 주철장 등 3개만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돼 있다. 이는 최다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서울(30개)을 제외하고 전국 도 단위에서 강원(2개)과 함께 충북(3개)이 최하위권이다.

시·도 무형문화재 지정 수도 경기도(55개), 전라북도(50개), 충청남도(38개) 등이 상위권으로 조사됐고, 충북(21개)은 강원도(20개), 제주도(19개)와 함께 하위권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무형문화재 지정 수가 타 도보다 현저히 떨어지는 이유로 문화재 정책부재를 꼽는다.

민속학자 A씨는 "충북에는 실력있는 무형문화재급 장인들이 많다"며 "그럼에도 문화재 지정에 소극적인 것은 정책부재가 가장 큰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양한 무형문화재 보존이들이 기존의 잣대대로 심사를 받는 것도 문제"라며 "계보나 인증이 우선되는 심사가 아니라 분야마다의 특성을 살려 무형문화재로 선정하는 기준을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런가 하면 시·도 무형문화재 심사에서 철저한 옥석가리기가 요구되고 있다. 실제 지난 1월에는 충북도무형문화재를 신청한 이모씨가 스스로 신청 포기하면서 불거진 전수자 논란은 시사하는 바 크다. 당시 제기된 여러 의혹들은 제도권의 맹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심사의 권위와 더불어 진정한 무형문화재 선정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C 교수는 "아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기 위해선 줄을 잘 서는 문화가 잔존해 있다"며 "그러다 보니 실력 있는 장인보다는 처세술에 강한 사람들이 유리할 수 있다"며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또 "충북민속 문화의 해로 선정된 만큼 숨은 장인들을 발굴해 그들이 지역의 무형문화재를 보존하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도나 시에서 적극적으로 나서 지금의 무형문화재 지정 수보다 두 배를 늘려야 한다"고 피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