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사회적 책임 간과해선 안된다
대기업 사회적 책임 간과해선 안된다
  • 이수홍 기자
  • 승인 2009.02.26 23: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이수홍 부국장(서산)

미국발 경제 대란으로 촉발돼 꽁꽁 얼어붙은 세계 경제가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질 않고 있다. 때문에 세계는 지금 경제회복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기업들은 살아남기 위한 방편으로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있다. 실업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세계는 공통으로 일자리 창출을 경제회복의 관건으로 보고 있다.

연일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기업들을 향해 일자리 창출을 호소하고 있다. 대기업들이 모범이 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세계 경제규모 12위권인 우리나라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그래서 최근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게 잡 셰어링(Job sharing)이다. 말 그대로 고용을 늘리거나 유지하는 일에 매달리고 있다.

최근 삼성그룹은 임원들의 임금 삭감과 성과급을 반납, 인턴사원 300명을 신규로 채용한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25일 우리나라 30대 그룹들은 대졸 초임 연봉을 최고 26%까지 삭감해 신규채용을 확대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당연히 임직원들의 연봉도 수술대에 오르게 됐다.

그동안 우리나라 대졸 초임의 수준은 OECD국가 중 최고 수준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30대 그룹 임금에 낀 거품을 빼 고통을 분담하는 차원의 일자리 나누기에 나선 것이다. 이 여파로 이하 그룹을 비롯해 단일 회사들에게 미치는 영향도 클 수밖에 없다. 덩달아 중소기업들까지 나서 임금을 삭감하려 들 게 뻔하다.

일방적으로 임금만 삭감해서는 안된다. 삭감에 상응하는 만큼 일자리를 늘려야 하는 전제가 있어야 공감을 얻을 수 있다.

현대사회는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로 통한다. 대기업일수록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 그동안 대기업들은 문어발식 경영으로 지탄을 받아 왔다. 대기업들은 자금동원력을 앞세워 돈 되는 곳, 돈 버는 수단만 되면 문어발식으로 기업을 확장해 왔다. 이를 정부는 눈감아 주고 은행권은 돈 장사에 혈안이 돼 기업대출 등을 통해 들러리를 섰다. 이 때문에 대기업들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도덕적 책무가 더욱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일선지역에서 기업활동 중인 대기업들의 표정을 어떠한 잣대로 받아들여야 할까. 서산지역 대기업들의 속사정을 살펴보자. 대산공단에는 삼성, 현대, LG, 롯데, KCC 등 대기업들이 우리나라 석유화학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 기업들은 구조조정 태풍이 불어닥쳐 몸 사리기에 들어갔다. 하다못해 그동안 직원들의 회식문화조차 중단됐다.낭비요인 추방을 외치며 몽당연필까지 등장했다. 서산 시내권은 이들을 바라보고 가게 문을 연 자영업자들이 수두룩하다. 그런데 이들의 발길이 끊어졌다. 결국 소규모 영세 자영업자들은 살 길이 막막한 실정에 처해 있다. 대기업 종사자들이 주머니를 닫아버린 결과다.

지방 언론사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매년 한 해를 시작할 즈음, 근하신년 광고를 게재했었다. 이를 통해 지방언론사들은 건강한 재정확충에 큰 힘이 돼 언론사 본연의 건강한 언론사로서의 역할을 돕는 큰 축이 됐었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이마저 없어졌다. 대기업들이 한 해 지출하는 운영비 중 회식문화나 소모비품, 홍보비용 등은 그리 큰 비중은 차지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런데도 무차별적으로 지출만 줄이라고 하는 건 아닌지 다시 한 번 짚어 볼 필요가 있다.

이것이야말로 지역과 함께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지름길일 수 있다. 대기업은 대기업에 걸맞은 행동을 해야 한다.

그만큼 사회적 책임이 크다. 일자리 창출, 지역사회와 함께 하려는 사회적 책임 속에는 간접적인 일자리 창출의 큰 의미가 살아 숨쉰다는 사실을 간과해선 안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