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성장률 2.6%→2.5%"…커지는 경기둔화 우려(종합2보)
"올 성장률 2.6%→2.5%"…커지는 경기둔화 우려(종합2보)
  • 뉴시스 기자
  • 승인 2019.04.18 15: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물가상승률 1.4%→1.1%로 하향
올해 설비투자 전망 0%대로 고꾸라져

한은 "투자 부진 등 하반기 완화될 것"

정부 추경 편성 효과는 아직 반영 안해



한국은행이 18일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6%에서 2.5%로 하향 조정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0.1%p 낮춘 2.5%로 조정했다고 밝혔다. 2020년에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2.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1월 2.9%로 처음 제시된 이후 7월과 10월, 올해 1월 그리고 이달까지 4차례에 걸쳐 각 0.1%p 하향 조정됐다. 1년 전과 비교하면 0.4%p 낮아진 것이다. 이번 조정은 시장의 대체적인 예상을 뒤엎는 결과이기도 하다. 당초 금융시장에서는 한은이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고려해 성장률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그럼에도 한은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낮춰 잡은 것은 지난 1분기 경기 성장 흐름이 예상보다 부진한 데에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 총재는 "1분기 수출과 투자의 흐름을 점검해보니 당초 예상보다 실적치가 낮은 것으로 파악돼 이것을 반영한 결과"라고 말했다.



부문별 전망치를 보면 설비투자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올 1월 전망 때에는 2.0%였으나 이번 전망에서 0.4%로 내려앉았다. 상반기 중 반도체 중심의 조정이 지속된 영향으로 풀이됐다. 상품수출도 1월 3.1% 전망에서 2.7%로 하락했다. 민간소비도 2.6%에서 2.5%로 소폭 내려갔다. 건설투자는 -3.2%로 1월 전망치와 같았으나 지난해 4월(-2.0%) 전망과 비교하면 악화된 수준에서는 벗어나지 못했다.



경상수지 흑자도 690억 달러 전망에서 665달러로 줄었다. 내년에는 650억달러로 더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취업자수 증가 수는 14만명으로 유지됐으나 지난해 4월 전망치(29만명)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내년에는 17만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은은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도 기존 1.4%에서 1.1%로 내렸다. 국제유가 하락세와 복지정책 강화 등에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지난해 4월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는 2.0%였다. 내년에는 소비자물가가 1.6%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와 수출과 투자 부진의 완화 등으로 하반기에는 성장세가 다소 회복되고 임금 상승세 등에 힘입어 물가 오름세도 커질 것이라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아울러 이번 전망치에는 정부의 추경 편성 등을 반영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이 총재는 "추경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전망치에 반영하려면 규모와 구성 내역, 지출 시기 등이 확정돼야 한다"며 "(추경이) 어느 쪽에 쓰이느냐에 따라 성장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어 7월 전망 발표 때 효과를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전망치가 나빠졌지만 여전히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는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총재는 "성장률 전망치가 0.1%p 낮아졌지만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연구기관들도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줄줄이 낮춘 상황이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기존 2.3%에서 2.1%로 내렸고, 스탠더드 앤 푸어스(S&P)도 2.4%로 하향 조정했다. 현대경제연구원과 LG경제연구원 등도 2.5%로 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정부의 추경 편성 등을 감안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유지한 바 있다.



한은의 전망대로라면 정부의 올해 성장률 목표(2.6%~2.7%) 달성은 물 건너 갈 상황에 놓이게 됐다. 만약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2.5%에 그친다면 2012년(2.3%)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게 된다. 결국 정부의 추경 편성이 경기 부진세를 얼마나 뒷받쳐주느냐가 목표 성장률 달성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