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적 지위 낮을수록, 女 모성건강 취약"
"사회경제적 지위 낮을수록, 女 모성건강 취약"
  • 뉴시스 기자
  • 승인 2018.01.18 14: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대 의대 조민우 교수팀, 건강보험 자료 분석결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여성 모성건강이 나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의료급여 임신부는 인공중절률, 제왕절개율 등 부정적인 지표에서 건강보험 대상에 비해 취약한 반면, 적절한 수준의 산전관리는 덜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저소득층에 대해 의료비를 지원하는 것만으로는 모성 건강을 보호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1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울산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조민우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 2010년 자료에서 임산부 45만7336명의 각종 지표와 합병증을 의료급여-건강보험 가입자간 비교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조 교수팀에 따르면 의료급여 대상 임신부의 인공중절률은 30.1%로, 건강보험 대상 임신부(20.7%)보다 1.5배 높았다. 이 때문에 제왕절개율도 의료급여 임신부(45.8%)가 건강보험 대상(39.6%)을 웃돌았다.

반면 적절한 산전진찰률은 의료급여가 37.5%로, 건강보험 대상자(54.8%)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 임신중독증(임신과 관련된 고혈압성 질환)은 의료급여 대상이 1.5%로, 건강보험 대상(0.6%)보다 2배 이상 높고, 산후 출혈 발생률(4.7%)과 조산율(2.1%)도 건강보험 대상(3.9%, 1.4%)보다 취약했다.

조 교수팀은 논문에서 "의료급여 대상자는 장시간, 고강도 노동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고, 병원으로 가는 교통비와 의료 혜택을 받기위한 기회 비용 등과 경제적 요인에 따른 제한이 있다"며 "낮은 교육수준도 부적절한 산후관리와 관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저소득 여성의 의료비 부담을 낮추는 것 외에 산전 진료를 더 많이 받거나 장시간 근무와 같은 생활 습관 위험 요소를 수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며 "보건당국은 이같은 현실적인 장벽과 불평등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전국민의료보험 시스템을 갖췄어도 사회·경제적 지위가 임신 결과와 합병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는 영문 학술지인 '국제건강형평성저널'(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에 소개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