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어업·어촌 6차산업화 정책 필요”
“도내 어업·어촌 6차산업화 정책 필요”
  • 조한필 기자
  • 승인 2016.08.25 17: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남연구원, 광역단위 산업화 체계 구축 제안

타 지역보다 발전가능성 인정 불구 추진 미미

생산·가공·체험·관광중심 부가가치 창출 강조

충남지역 어업·어촌에 6차산업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충남 농업·농촌분야는 이미 6차산업화 기반이 정착돼 가고 있으나 어업·어촌분야의 6차산업화는 이렇다 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25일 충남연구원 김종화 책임연구원은 충남리포트 236호에서 “최근 수산업은 기존 어업의 산업적 측면을 넘어 고부가가치 창출을 도모하기 위한 융복합 등 환경변화에 직면해 있다”며 “어느 지역보다 6차산업화 발전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는 충남이 이제는 어업·어촌의 6차산업화에도 적극적인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어업·어촌 6차산업화는 다양한 어촌 공동체가 주체가 돼 이들 간 협업은 물론 생산자-소비자 간 다양한 거래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김 책임연구원은 도내 어업·어촌 6차산업화 사례를 소개하면서 “1차 생산 중심사례인 ‘천수만 씨푸드’와 ‘예산 예당원’처럼 어촌의 공간적 관점보다 어업의 산업적 관점에 초점을 맞출 수 있고 2차 가공 중심 사례인 ‘그이랑 영어조합법인’과 ‘광천 영어조합법인’처럼 원물의 가공 및 판매에 중점을 두되 개인 혹은 상인연합회 등 주체는 다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3차 체험·관광 중심 사례인 서산 중리어촌체험마을과 태안 대야도어촌체험마을처럼 지역의 독특한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내포 조한필기자

chohp11@cctimes.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