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세종역' 충청권 갈등 도화선
`KTX세종역' 충청권 갈등 도화선
  • 석재동 기자
  • 승인 2016.07.19 20: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북 오송역 위상 실추 - 충남 공주역 존립자체 위태

대전 KTX서대전역 경유 명분 상실… 곱지않은 시선

국회 분원 설치 등 한목소리 못내 … 공조 균열 우려

고속철도(KTX) 세종역 신설문제가 충청권 4개 광역자치단체 간 갈등의 도화선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회 세종시 분원 설치 등 향후 협력해야 할 사안이 많은 충청권 자치단체 간 공조에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주민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국토의 중심 오송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19일 청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해찬 국회의원(무소속)의 세종역 신설 공약은 충청권공조를 파기하는 매우 위험한 공약”이라고 비난했다.

이들은 “(세종역 신설이 백지화되지 않으면) 대규모 집회로 대응할 것”이라며 “그래도 안되면 국회 상경집회도 불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처럼 오송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선 이유는 이 의원이 국무총리를 역임한데다 6선 국회의원이라는 점 때문이다. 중량감이 만만치 않은 정치인이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할 경우 내년 대통령선거 등 정치일정에 따라 얼마든지 쟁점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 있다.

이 의원의 상임위가 국토교통위원회인 것도 세종시를 제외한 나머지 충청권 광역자치단체를 긴장시키게 하는 요인이다.

실제로 이 의원은 총선후 이춘희 세종시장과 함께 국토부 관계자들이 만나 세종역 신설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역 신설은 세종시 외 나머지 충청권 광역자치단체에겐 바라는 바가 아니다.

충북도 입장에선 세종시 관문역할을 수행 중인 오송역의 쇠퇴를 의미한다. 분기역으로서의 위상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충남으로선 가뜩이나 이용객이 적어 ‘유령역’이라는 오명을 쓰고 있는 공주역의 존립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기 때문에 세종역 신설추진을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호남선 KTX 개통과 함께 문을 연 공주역은 1년이 넘도록 하루 이용객이 500명도 안될 정도다. 이런 가운데 오송역과 공주역 사이에 세종역이 신설되면 공주역의 위상은 더욱 떨어질 수밖에 없다.

호남선 KTX서대전역 경유를 추진하고 있는 대전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세종역 신설은 서대전역 경유 명분을 갉아먹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국회 세종시 분원을 설치하자는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주요 정당들은 국회 세종시 분원 설치를 지난 총선 공약으로 내놨다. 이해찬 의원은 지난 6월20일 세종시 국회 분원 설치를 골자로 한 국회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다분히 대선때마다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 온 충청권 표를 의식한 움직임이다.

하지만 충청권은 세종역 신설논란으로 국회 분원문제에 한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충북지역정가의 한 인사는 “이해찬 의원과 세종시는 세종역 신설이라는 작은 이익에 취해 국회 세종시 분원 유치와 충청권공조라는 대의명분을 잃어서는 안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석재동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