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은 충북 … 노인복지 사각지대
늙은 충북 … 노인복지 사각지대
  • 엄경철 기자
  • 승인 2015.10.01 2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주시 제외 10개 시군 고령화사회 진입

김광홍 회장 “사회적 환경 조성 서둘러야”
충북이 고령화사회로 접어들었다.

초고령화사회로 진입한 지역의 경우 빈곤, 질병 등 복지사각지대에 내몰리는 노인들이 갈수록 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관련기사 3면

1일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 8월말 기준 도내 65세 이상 인구는 23만2989명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877명이 늘어난 것이다.

도내 전체 인구(등록 외국인 제외) 158만1792명 가운데 노인인구 비율이 14.7%를 차지하고 있다. 고령화사회는 총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14% 이상인 사회를 말한다.

지역별로는 청주시가 10.5%로 노인 인구 비중이 11개 시·군 중에서 가장 낮다. 나머지 10개 시·군은 고령화사회로 접어들었다.

괴산군이 29.8%로 가장 높고, 보은군 29.4%, 영동군 26.6%, 단양군 25.3%, 옥천군 24.3% 순이다. 제천시 17.1%, 음성군 17%, 진천군 16.3%, 충주시 16.2%, 증평군 13.9% 등이다.

이 가운데 5개 시·군은 노인인구 비율 20% 이상인 초고령화사회다.

충북의 고령화사회는 출생률과 사망률이 동시에 떨어지는 추세에 있어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1년 동안 충북의 출생아 수는 8691명에서 9197명으로 506명 증가했다.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광주광역시(463명)와 제주도(285명)를 제외하면 15번째로 낮았다.

고령화사회가 빨라지면서 빈곤, 질병, 자살 등 노인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사각지대에 놓인 노인들도 계속 늘고 있다.

도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16만8000여명이 매월 20만원 안팎의 기초노령연금을 받고 있다. 소득이나 부양 의무자가 없는 노인 1만4200여명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지정돼 생계급여 등을 받고 있다.

노인복지 수혜자는 수치상으로 18만2200여명이다. 단순 계산만으로도 5만789명 정도가 복지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소득이나 재산이 많아 지원이 필요하지 않은 차상위 계층 등을 제외하더라도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노인이 많다.

김광홍 대한노인회 충북연합회장은 “일본, 이탈리아,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은 100년에 걸쳐 서서히 고령화사회가 됐지만 우리는 사정이 다르다”며 “한국의 노인비율은 2000년 10%대로 진입했고, 2018년 20%대로 진입하게 된다. 20년만에 고령화사회가 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 회장은 “우리는 짧은 시간에 고령화사회로 진입하게 되면서 준비가 되지 않았다. 서둘러 사회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엄경철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