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지 않는데 b반복되는 생각·행동 혹시 나도 강박증 ?
원하지 않는데 b반복되는 생각·행동 혹시 나도 강박증 ?
  • 뉴시스
  • 승인 2015.04.12 20: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5년간 진료환자 급증 아동때 발견못해 악화 많아

한의학적 원인 심장·담 이상 몸·마음 동시에 치료 필요 불안감·두려움 극복 노력도

현대는 ‘불안의 시대’라 할만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 ‘강박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 2009년 약 2만2000명이던 진료 환자는 2013년 2만5000명으로 늘었다. 5년 사이 3000명 이상 증가한 셈이다.

정신과 진료에 회의적인 사람들까지 포함한다면 그 수는 훨씬 늘어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강박증은 성인 뿐 아니라 아동에게도 나타나는데, 증상 자체를 무심코 넘겨 악화시키는 경우가 적지 않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또 다른 통계 자료에는 100명 중 15명의 아이들과 청소년들이 강박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황은영 자하연한의원 원장은 “문제는 강박증을 앓는 아이들의 경우 스스로 증상에 대한 특이점을 인지하지 못할 뿐 아니라 부모 역시 아이의 증세를 쉽게 눈치채지 못한다는데 있다. 발병을 해도 곧바로 치료를 받지 않고 5~10년이 지난 후 병원을 찾는다는 것도 강박증 환자 수를 증가시키는 또 다른 문제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강박증은 불안장애의 하나로 반복적이고 원하지 않은 강박적 사고와 강박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의 하나다.

자하연한의원 측에 따르면 강박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오염이나 질병 감염에 대한 두려움으로 씻거나 닦는 행동이 반복되는 증상 ◆신체부위를 건드리거나 머리카락 정돈 등 의미 없는 행동의 반복 ◆정리 정돈, 수집하고 저장하는 증상 ◆칼, 유리조각 등 위험한 물건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현관문이나 가스불 등을 확인하는 등 사고나 위험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확인 점검 ◆강박행동이 없는 순수한 강박사고(폭력적이거나 성적인, 다양한 불편한 사고의 지속) 등이다.

한의학에서는 강박증의 원인을 콩팥을 주관하는 심장의 이상과, 담이나 비장경락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심장과 담을 충전하고 보해 감정의 조절 기능을 조율해 마음을 안정시켜준다면 강박증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 자하연한의원측의 설명이다.

자하연한의원은 강박증 치료에 ‘정심방요법’을 활용하고 있다. 몸과 마음을 하나로 보고 치료하는 것으로 1:1 상담, 집단상담, 가족상담 등 3단계에 걸친 세심한 상담치료를 통해 마음을 다스린다.

과열된, 또는 과로로 인해 실조된 심장의 기능을 회복하고 충전해 감정조절기능을 원활히 하고, 마음의 안정을 통해 강박사고와 행동을 치료하는 평온고 처방으로 치료한다.

황 원장은 “강박증으로 인한 극도의 불안감과 두려움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피하고 싶은 감정들이다. 하지만 강박증을 적극적으로 이겨내려는 노력은 내면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이를 통해 한층 더 성숙해질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오래 두드릴수록 더욱 단단해지는 강철처럼 마음을 깊이 있게 앓아냄으로써 더 강한 마음을 만드는 단련의 시간이라고 생각해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뉴시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