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만 충북도민시대가 온다
200만 충북도민시대가 온다
  • 김기원 <편집위원·문화비평가>
  • 승인 2014.08.11 22: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김기원 <편집위원·문화비평가>

충청북도 인구 200만 시대! 결코 허무맹랑한 이야기도, 꿈같은 이야기도 아니다. 지금 충북이 200만 명 고지를 향해 반드시 넘어야 할 할딱고개 앞에 당도해 있다.

할딱고개는 고비다. 힘든 고비를 어떻게 넘느냐에 따라서 고지를 밟을 수도, 도로 아미타불이 될 수도 있다.

놀라지 마시라.

지구상에 200만 명 이하 국가(2013년 7월 말 기준)가 룩셈부르크, 슬로베니아, 바레인, 부탄 등 무려 92개 국가나 된다.

대한민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2014년 6월 말 기준으로 200만 명이 넘는 시·도는 서울 부산 대구 인천 4개시와 경기 경북 경남 충남 4개도뿐이다.

최근 충남이 2,057,178명으로 200만 클럽에 가입하는 경사를 맞았다. 수도권과 인접한 천안·아산지역의 팽창과 서해안 개발벨트의 덕을 톡톡히 보고 있어서이다.

2014년 6월말 기준 충북의 주민등록상 인구는 외국인 29,409명을 포함하여 1,605,475명이다.

이중 통합청주시 인구가 840,649명으로 52.4%를 차지해 인구의 편중현상을 심화시키고 있으나, 경제구조나 인구흡인력 상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아무튼 충북 인구가 200만 명이 되려면 아직도 40만 명이 더 필요하다.

40만 명이면 충주(211,784명) 제천(138,596명) 단양(31,213명) 인구보다 많아야 한다. 그래서 다들 불가능한 숫자로, 터무니없는 욕심으로 여긴다.

결코 그렇지 않다.

저출산 시대임에도 충북 인구가 최근 몇 년 사이에 10만 명이나 늘었다. 그것도 타 지역에서 화이트칼라들이 많이 유입되어 충북을 젊게 만들었다. 국책연구기관과 유수 기업과 대학들이 유치되고, 젊은 귀농인들이 유입되면서 나타난 고무적인 현상이다.

노령화 사회를 넘어 노령사회로 진입한 작금의 인구 구조를 고려하면 축복이 아닐 수 없다.

충북 인구의 견인지역은 단연 바이오산업과 태양광산업벨트 지역이다.

오송첨단생명과학단지와 오창과학산업단지, 진천 증평 음성의 지방산업단지, 중부혁신도시, 충주기업도시, 제천바이오산업단지 등이 인구증가의 진원지이다.

통합청주시는 오송과 테크노폴리스와 오창과 내수를 연결하는 산업벨트의 높은 경쟁력과 흡인력으로 인해 머잖아 100만 시민을 가슴에 품게 될 것이다.

또한 시 승격을 지상과제로 삼고 있는 음성군(101,212명)과 진천군(69,009명)이 근래 신수도권화 되면서 인구증가의 호기를 맞고 있다. 이들 두 지역이 혁신도시의 완성과 더불어 역내에 조성되고 있는 지방산업단지에 유수기업들이 유치되고, 대학유치 등에 성과를 거두면 인구 15만 명의 자족도시로 승격될 수 있다.

충주시도 기업도시와 메가폴리스와 경제자유구역 사업들이 성공을 거두면 30만 명 이상의 중핵도시로 거듭날 것이고, 7년 연속 인구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증평군(35,270명)도 인구 5만을 채울 충분한 도시기반을 갖추고 있고, 제천시(138,596명)도 더디기는 하지만 기업유치와 관광산업 활성화 여부에 따라서 20만 시민시대를 열 수 있다.

200만명 시대를 여는 장애요인은 세종특별자치시(130,708명)이다.

최근 청주생활권 도민들이 세종시로 많이 빠져나가고 있는데, 세종시 목표인구 50만 명을 채우는데, 충북 인구의 유출 정도가 200만 명 달성을 빨리하느냐 늦게 하느냐의 관건이 될 것이다. 빠져나가는 수만큼 느려질 것은 자명할 터.

2013. 5. 31 충청권 인구가 사상 최초로 호남권 인구를 추월한 이래, 격차가 계속 벌어져 2014년 6월말 기준으로 49,021명이 더 많다. 한반도의 힘의 균형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

지금 영·충·호 시대와 신수도권이라는 시운을 타고, 꿈의 200만 충북도민시대가 오고 있다.

그러므로 충북도는 200만 명에 맞추어 도정을 설계변경 해야 한다. 200만 도민이 안전하고 풍요롭게 꿈을 펼칠 수 있도록, 도의 용량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이 일 또한 민선 6기 충북호의 시대적 소명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