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위조화폐 기승… "수법 정교"
충북 위조화폐 기승… "수법 정교"
  • 송근섭 기자
  • 승인 2013.07.23 2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통·사용사례 증가
지난해 173건 발생

기계도 식별 어려워

각별한 주의 요구

최근 충북지역에서 위조지폐·수표의 유통 및 사용 사례가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청주상당경찰서는 23일 채권자에게 담보로 위조 수표를 건넨 김모씨(48)를 위조유가증권행사 등 혐의로 구속했다.

김씨는 지난 2월 청원군 한 주택에서 A씨(58·여)가 빚 6000만원을 갚으라고 하자 1000만원권 위조수표 2장을 담보로 맡긴 혐의를 받고 있다.

현재 김씨는 위조수표를 입수한 경로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앞서 지난 10일에는 수백만원 상당의 위조지폐를 제작한 고등학교 3학년 김모군(18)이 통화위조 등 혐의로 붙잡혔다.

김군은 친구 유모군(19)과 지난 2일 제천시 화산동 한 모텔에서 노트북과 컬러 프린터를 이용, 1만원권 지폐와 10만원권 수표 등 모두 360만원 상당의 위조지폐를 제작, 인근 상점 등에서 사용한 혐의다.

이들은 전문적인 기술 없이 노트북과 컬러 프린터기 만으로 손쉽게 위조지폐를 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5월에도 10만원권 수표를 위조한 모 폭력조직 조직원 등 5명이 부정수표단속법 위반 혐의로 대전에서 검거됐다.

이들은 지난 4월 대전과 청주의 모텔에서 컬러복합기를 이용해 10만원권 자기앞수표 58장을 위조, 인근 상점에서 물건을 사고 거스름돈을 돌려받는 수법으로 모두 180만원 상당을 챙기기까지 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위조지폐·수표 안전지대로 인식됐던 충북에서도 범행·피해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위조지폐 식별기로도 적발되지 않을만큼 정교한 복제품이 늘고 있어 피해 확산이 우려된다. 

한국은행 충북본부에 접수된 지난해 위조지폐 발생 건수는 모두 173건으로, 2009년 155건에 비해 18건이나 늘었다.

지난해 경찰에서 파악한 충북도내 위조지폐 신고도 모두 115건으로, 2011년 94건보다 19건이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충북도내 위조지폐 사용 증가 원인으로 수법 진화, 디지털기기 보급 확대, 교통접근성 개선으로 인한 유통 증가 등을 꼽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홀로그램이나 은색 점선 등 지폐에 삽입된 식별장치를 꼼꼼히 살피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며 “의심이 갈 경우엔 가까운 은행이나 경찰서 등 기관을 찾아 문의하는 것이 더 큰 피해를 막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