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역할 못하는' 천안 소비자단체
'제 역할 못하는' 천안 소비자단체
  • 이재경 기자
  • 승인 2013.05.12 21: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택시요금 기습인상 칼국수값 7천원에도
물가안정 무대응 일관

물가를 감시하고 안정시키는 역할을 해야할 지역 소비자단체들이 정작 물가 안정에 무관심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천안시에 따르면 현재 천안에는 전국주부교실, 소비자시민모임, 천안YMCA, 한국소비자생활연구원, 녹색소비자연대 등 5개 단체가 소비자와 관련된 일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단체들은 정작 소비자들이 가장 민감하게 생각하는 물가 인상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응도 하지않고 있다.

실제 지난달 천안지역 택시 기본요금이 2300원에서 2800원으로 22% 인상됐는데도 지역 소비자 단체들은 아무런 소리를 내지못했다.

택시 요금 인상률의 적정 여부를 떠나 당국이 충분한 사전 홍보 기간이나 안내 절차 없이 요금을 기습 인상한 것에 대해 소비자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전혀 하지 못했다.

음식값, 식자재값 등의 인상에 대해서도 감시를 소홀히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천안지역의 경우 최근 칼국수값이 7000원, 삼겹살 1인분이 1만2000원까지 오르는 등 타 지역보다 20~30% 이상 비싼 음식값에 대한 불만 여론이 거세다. 그러나 소비자단체들은 물가 안정을 위한 캠페인 등 계도 활동이나 감시를 거의 하지않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시에서 유일하게 보조금을 받는 전국주부교실 천안지회만이 연간 3~4차례 시내에서 물가 안정 캠페인을 벌인게 고작이다.

이 단체는 시에서 연간 120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아 물가 동향을 파악하고 시에 관련 자료를 제출하고 있다.

나머지 단체들은 대부분 시의 보조금 지원없이 자비를 들여 사무실을 꾸려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 김성훈씨(46·천안시 동남구 신방동)는 “천안이 물가가 비싼 도시로 오래전부터 오명을 쓰고 있는데 소비자 보호 단체들이 방관만 하고 있어 유감”이라며 “봉사차원에서 (회원들이) 자비를 들여 사무실을 운영하는 등 어려움이 있겠지만 보다 적극적으로 소비자 보호 활동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소비자단체의 한 관계자는 “물가 감시와 소비자를 대변하는 역할을 제대로 하지못했다는 지적에 전적으로 공감한다”면서도 “그러나 대부분 재정이 열악한 상황에서 (소비자단체들이) 사무실을 운영하기때문에 활동이 미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