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특별기고
  • 충청타임즈 기자
  • 승인 2006.07.25 09: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균형발전정책과 충청권 비전(2)
국가균형발전정책으로 충청권은 지도가 바뀌고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단순한 건설 관련 사업들로 보일지 모르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충청권을 평가하는 가치기준의 인식지도가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혁신주도형발전, 다극분산형 발전을 중시하는 질적 발전이 조화를 이루며 추진되고 있는 곳이 충청권임을 알 수 있다.

충북에서 가장 눈에 띄는 곳은 오송생명과학단지와 오창과학단지이다. 충북지역 최초로 국가산업단지로 조성·지정된 곳이며, 얼마 전에는 대통령께서 주재하는 균형발전 지역전략산업 성과점검회의를 오창과학단지에서 개최할 수 있었다.

내로라하는 전국의 산업단지들을 뒤로하고 충북에서 할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산업의 잠재력이 강하다는 판단이있었기 때문이다.

이곳은 물류에 유리한 인프라가 갖춰져 있고, 국가 R&D 기관의 입주 등을 바탕으로 BT와 IT분야의 중심벨트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을 중심으로 음성·진천에 교육·연구·연수 중심의 혁신도시가 건설되고, 충주에 지식기반형 기업도시가 들어서면 충북은 대전과 함께 국가 R&D 및 교육·지식부문 역량강화의 모델을 형성할 것이다.

충남 역시 전자·정보기기, 자동차·부품, 첨단문화, 농·축산바이오산업을 4대전략산업으로 지정하여 육성하고 있으며, 천안·아산의 탕정지구는 세계적인 LCD·전자단지로 크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는 공주·연기군에 49개 국가기관 및 17개 국책연구기관이 자리를 잡으면서 충남의 공간과 삶의 가치를 보다 더 높이고 있다.

대전은 이미 오래 전부터 과학기술의 도시로 자리잡아왔다.

과학EXPO 이후 대전의 ETRI에서는 CDMA상용기술이 세계 최초로 만들어져 대한민국의 신성장동력을 창출했다. 이 역량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대덕을 R&D특구로 지정하여, 2015년까지 3000개의 기업을 입주시키고, 30조원의 매출을 올려 선진한국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집중 육성하고 있다.

대전의 전략산업인 IT, 바이오, 첨단부품·소재, 메카트로닉스산업은 R&D특구와 함께 세계적 산업으로 거듭날 조건을 갖추고 있다.

최근의 KIET보고서는 이 가능성을 더욱 높게 보여주고 있다. 대전은 인적자원 및 지식창출 부문 혁신지수에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대전은 한국의 미래산업을 만들어가는 출발지인 것이다.

지역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누리사업의 경우 교수들은 다양한 현장맞춤형 산·학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역량강화의 새로운 계기를 갖게 된다.

충청권은 32개 대학, 1300여명의 교수와 4만4500명의 학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영동대, 주성대, 한밭대, 호서대는 산·학협력중심대학으로 지정되어 육성되고 있다.

충북의 지역혁신협의회는 제천을 생태도시로 조성하는 계획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혁신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충남 금산의 인삼은 신활력사업을 통한 인삼생산의 고도화, 지역특화발전특구를 통한 투자 활성화 기반을 조성하여 전국에서 대표적인 사례로 거론되고 있다.

충청권은 충북~대전~충남이 연결되면서 이미 바이오토피아의 중심, 과학기술의 허브, 동북아 경제의 중심으로 부상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계기를 이어가는 것은 온전히 충청권의 내재적 혁신역량에 달려있음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