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간(庫間)이 거덜난다
곳간(庫間)이 거덜난다
  • 남경훈 기자
  • 승인 2012.04.24 21: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남경훈 취재1팀장(부국장)

일본 나가노현의 모타키무라는 지난 2008년 두 번째로 파산한 지방자치단체란 불명예를 안고 있다. 이 마을은 산악지대에 위치한 관광휴양도시로 파산 원인은 스키장 리조트 건설이다. 주변 지역에 스키장 리조트가 동시에 여러 곳 생겨나고 경기침체가 겹치면서 해외관광객 유치가 실패로 돌아갔고 지방채 이자가 불어나 파산에 이르렀다.

그러면서 벌어진 일은 2년간에 걸쳐 상수도요금 20% 인상, 하수도요금 30% 인상, 공영주택 임대료 30% 인상. 공무원 20% 감축, 지방자치단체 의원 보수 40% 감축이다. 그러자 주민들이 못살겠다며 마을을 떠나 주민 수가 13분의 1로 줄어들었다. 일본에서 이처럼 파산선고를 받고 빚 갚기에 허덕이는 지자체가 40여곳이나 된다.

민선 지자체장들이 일을 한지 18년째를 맞고 있는 우리나라도 이런 우려가 팽배하다.

경기도 성남시는 호화청사 건축에 3220억원을 퍼붓고 부도를 선언했다.

인천광역시는 지난달 공무원 수당을 제때 못 주었고 이달부터 산하 공무원의 수당을 평균 22.6% 삭감했다. 시장의 직급보조비, 장기근무자 해외시찰 경비를 전액 삭감하고 올해 사회단체 보조금 18억원도 10% 삭감할 방침이다. 인천시 부채는 지난해 말 현재 2조7401억원이다. 인천도시공사 등 산하 공기업부채를 합하면 8조8700억원에 달한다. 예산 대비 부채(負債) 비율 38.7%로 전국 광역시 중 가장 높다. 원인은 송도·청라·영종도, 검단 개발까지 진행했으나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분양된 사례가 없고 840억원을 투자한 은하철도(월미도 순환관광열차)는 운행도 못한 채 고철 덩어리로 변해가는 등 투자 실패가 원인이다.

경기도 연천군의 백학산업단지는 준공된지 8개월이 지났지만 유치 목표는 63곳인데 가동 중인 공장은 3곳뿐이다.

경기도 시흥시는 군자지구에 배곧신도시를 개발하려고 개발에 5600억원을 쏟아부어 빚이 예산의 40%까지 상승해 있다. 실패하면 역시 거덜난다. 강원도 태백시는 오투리조트 건설에 1460억원을 빚지고 날마다 빚독촉을 받고 있다. 빚이 예산의 절반이 넘는다. 대전광역시 동구도 인건비가 부족해 특별재정보조금을 받았다.

충북도 안심할 수 없다.

대구와 인천을 포함해 경남 충남 부산 강원 충북 전남 등 8곳의 재정건전성에 대한 염려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매일경제신문이 이들 광역자치단체에 대한 채무잔액지수(전체 예산에서 빚이 차지하는 비중)를 분석한 결과 이들 8곳이 40%를 넘어섰다. 충북은 2004년 19.55%에서 2010년에는 46.66%로 전북 전남 경남 다음으로 급증했다. 이는 전시성, 치적성 사업이 다분하고 지역의 토호 기득권층 중심의 사업 편성이 주 요인이다. 물론 이런 문제를 지자체만 탓할 것이 아니다.

중앙정부의 무분별한 복지정책도 한몫을 하고 있다. 영유아 무상보육만 따져보자. 정부는 지난 3월부터 0~2세 전 계층에게 보육료를 지원하고 5세 누리과정 시행에 돌입했다. 만 0~2세와 5세 전 계층에 보육료를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자체들은 재정바닥으로 8~9월이면 중단해야할 저치다. 이유는 당초 국회에서 예산을 편성하면서 신규 보육수요자를 반영하지 않았고, 지방정부 부담을 50%로 해놓으면서 가뜩이나 재정난 속에 추가 복지사업에 허리가 휠 지경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내년부터 3~4세에 대해서도 누리과정을 시행해 전 계층에 보육료를 지원하는 등 무상보육 정책을 본격화 하겠다는 계획이어서 지자체들은 한숨만 내쉬는 형편이다.

무리한 사회간접자본에 투자하거나 선심성 복지정책 남발로 지자체 곳간(庫間)은 거덜나고 주민들에게는 세금폭탄만 돌아올 것이 뻔하다. 지방재정의 건전성 확보 시급히 서둘러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