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환경 위기와 녹색도시로의 전환
지구 환경 위기와 녹색도시로의 전환
  • 박완희 (사)두꺼비친구들 사무국장
  • 승인 2011.10.23 17: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타임즈 포럼

세계기상기구(WMO)의 가이어 브라덴 박사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럽 지오사이언스 연맹’에 제출한 논문에서 3월 말까지 위성 등으로 북극을 관측한 결과 북극 상공의 오존층이 40%가량 파괴된 상태라고 밝혔다. 그린란드와 스칸디나비아 반도 사이, 시베리아 북부 상공에 길이 3000㎞, 폭 1000㎞의 타원형 오존 구멍이 뚫렸으며, 이는 한반도의 9배 정도의 면적이다. 이 오존 구멍은 동유럽에서 러시아, 몽골로 이동하면서 해당 지역 주민들이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었다고 한다.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우리는 흔히 오존층 파괴 문제는 남극의 문제로 인식해 왔다. 1980년대 중반 과학자들은 주기적으로 남극 상공의 오존층에 구멍이 나고 있음을 밝혔다. 오존의 화학식은 O₃로 지상고도 10~15km에서 시작하여 20~25km에서 가장 농도가 높아지고 그 이상의 고도에서는 높이와 함께 서서히 농도가 줄어든다. 이처럼 오존의 농도가 높은 영역이 바로 오존층이다.

지구상에 쏟아지는 태양 자외선의 양은 상공의 오존양의 많고 적음에 따라 아주 민감하게 변한다. 즉 오존층에서 태양의 자외선을 상당부분 흡수하게 된다. 지금처럼 오존층에 구멍이 더 커진다면 파장 310nm 이하의 단파장 자외선이 그대로 지구상에 도달, 생물 세포의 핵산을 파괴하여 생물 성장을 어렵게 만든다. 이로 인해 농산물 수확감소, 돌연변이 발생, 생태계 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자외선은 피부암과 백내장을 유발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결국 오존층은 태양의 자외선으로부터 지구 생명체를 보호해 주는 중요한 보호막인 것이다.

과학자들은 에어컨, 냉장고, 헤어스프레이의 냉매제인 프레온가스(CFCs)의 사용과 화석연료를 태우면서 나오는 이산화탄소(CO₂) 등에 의한 온실가스 효과까지 겹치면서 오존층에 구멍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존층 파괴 물질인 염화불화탄소의 사용과 생산을 규제하기 위하여 1985년에 빈협약이 체결되었다. 또 점차 파괴되어 가는 오존층을 보호하기 위해 1994년 제49차 유엔총회에서 몬트리올 의정서 채택일인 1987년 9월 16일을 ‘세계 오존층 보호의 날’로 지정하였다.

과연 우리는 이러한 전 지구적 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지난 21일 창원에서 유엔사막화방지협약 총회가 폐막되었다. 사막화 및 토지황폐화 방지를 실제로 이행할 구체적 플랜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이번 총회의 의의가 있다는 평가다. 이번 총회를 주관한 산림청은 후속 사업으로 아프리카에서는 ‘건조지 녹색성장 파트너십’을, 동북아에서는 ‘황사방지 프로그램’을 추진해 세계 사막화 방지 활동을 주도적으로 할 계획이라고 한다.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인 우리나라가 국제사회를 위해 당연히 해야 할 역할이다. 2012년에는 세계자연보전총회가 제주도에서 열린다. 그 외에 내년에 세계물박람회가 부산에서 열릴 예정이며, 제18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를 우리나라에 유치하고자 노력 중이다. 이러한 국제행사 유치는 중요하고 필요한 일이다. 그러나 그 전에 우리나라의 사막화, 자연보전, 기후변화 대응, 4대강 파괴 문제가 뒷전이라면 이는 치적 쌓기, 생색내기에 불과할 것이다.

지방정부는 전 지구적 문제에 대해 자체적인 대응을 준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몇몇 지자체들은 생태수도, 환경수도, 녹색도시, 어메니티도시, 태양도시를 내세우고 개발 위주의 도시패러다임에서 생태환경적 가치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여기에 전국적인 생태환경, 녹색도시의 수범도시로 나서려는 청주시는 녹색수도를 내세우고 있다. 자연환경과 공동체 파괴에 대응하기 위해 경제, 사회, 환경부문을 자연에 담긴 순환, 공생, 균형의 원리에 맞게 전환하여 현재와 미래 시민이 쾌적하고 조화롭게 살아가는 녹색수도를 만들자는 것이다.

최근에 청주시는 녹색수도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계획이 계획으로 남지 않고 실현되기 위해서는 녹색도시기본조례 등과 같은 제도적 장치마련과 행정부의 정책적 실현 의지, 시의회, 시민사회의 협력이 중요하다. 녹색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것이다. 녹색사회로의 패러다임의 전환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