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과 사시미
겨울과 사시미
  • 김우영 <소설가>
  • 승인 2011.08.24 2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우영의 에세이-우리말 나들이
겨울은 겨시다에서 유래. 가슬이 가을로 굳어진 것처럼 겨울도 겨슬(혹은 겨실)에서 그 어원을 찾아야 한다. 누가 어느 곳에 ‘있다’는 말을 높여 겨시다(계시다)라고 한다.

여기서 ‘겨’가 존재(居·在)를 나타낸다. 따라서 늘 집에 계시는 여성을 일러 우리는 낮은 말로 겨집(계집)이라고 한다. 날씨가 추워지기 전 벌판에서 여문 곡식을 곳간 속에 갈무리해 두고 겨울 한 철은 집에서 편안히 쉰다는 뜻으로 ‘겨울’이라고 말한다.

불교에서는 다문천왕(多聞天王)이라고 한다. 계절별로 겨울을 뜻하며 내년 새봄의 농사를 위하여 편안히 쉬면서 많이 듣고 배우라는 뜻이다.

인생에 있어서도 자연의 오묘한 봄과 여름, 가을, 겨울이 스친다. 새봄 같은 약동과, 여름의 풍요, 가을의 결실, 겨울의 참선이 수시로 찾아오고 나간다. 그러나 봄날과 같은 따듯한 시절이라고 해서 자만할 일도 아니다. 또 명예와 재물이 넉넉한 여름이라 해서 역시 오만할 필요가 없다.

아울러 많은 양의 정신적 물질적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 해도 배불러 해서는 안 된다. 대저 넓고 깊은 사색의 산실에서 되돌아보고 나아가는 봄을 기다리는 겸손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되고 완벽한 저술이라고 말하는 ‘성경’에서도 이렇게 말하지 않았던가!

“번성할 때를 유의하라 . . . . . . ! ”

‘사시미(刺身)’와 ‘스키야키(鋤燒)’는 이미 ‘국어 순화 자료집’에서 각각 ‘생선회’와 ‘일본전골(찌개)’로 순화한 용어만 쓰도록 권장하고 있다. ‘생선회’는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말이다.

‘왜전골’은 ‘스키야키’ 전골의 일종으로 일본 특유의 것이므로 앞에 ‘왜-’를 붙인 것. ‘왜-’는 ‘일본식’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로 ‘왜된장, 왜간장’처럼 흔히 쓰이는 말이다. 이 말은 낮추는 의미가 있어 ‘일본’이라는 말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리’는 ‘(汁)’가 변한 말로 ‘국어 순화 용어 자료집’에서 ‘싱건탕’으로 순화하였다. 흔히 ‘복지리(鰒)’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이는 ‘복국’이나 ‘복 싱건탕’이라고 하면 된다. ‘싱건탕’은 ‘싱거운 탕’이라는 뜻으로 ‘매운탕’과 짝을 이루고 ‘싱거운 김치’를 뜻하는 ‘싱건김치’와 같은 말에서 그러한 조어법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순화어를 적극적으로 사용·보급하여 무심코 사용하는 일본어를 경계하고 그 남용을 방지해야 한다.

순화어를 적극 활용 일본어의 남용 방지에 성공한 사례로는 ‘나무젓가락’과 ‘이쑤시개’를 들 수 있다. 이 말은 10여년 전만해도 ‘와리바시’나 ‘요지’로 흔히 쓰이던 것이었으나 꾸준한 국어 순화 노력으로 이제는 거의 정착되어 간다.



“우리말을 모르고 어찌 일본을 알려고 해서야 되겠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